기업 10곳 중 8곳 “올해 임금 인상”… 평균 인상률 6.4%

머니s
|
2023.03.03 오전 10:02
|

기업 10곳 중 8곳 “올해 임금 인상”… 평균 인상률 6.4%

기업 10곳 중 8곳이 올해 임금을 인상했다. / 사진=뉴시스

기업들의 성과급 지급과 연봉 인상률 결정이 마무리되는 가운데 10곳 중 8곳은 올해 임금을 인상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일 사람인 HR연구소가 기업 332개사를 대상으로 ‘2023년도 임금인상 현황’을 조사한 결과, 67.5%가 올해 임금이 결정됐다고 답했다. 이들 중 임금을 인상한 기업은 78%였으며, 나머지 22%는 동결 또는 삭감했다고 밝혔다.

임금을 인상한 기업들(175개사)의 경우, 평균 인상률은 6.4%였다. 인상율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경영진의 결정(24.6%)이 1위였다. 이어 개인 실적(19.4%), 물가 인상률(18.3%), 전사 실적(17.7%)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이들 기업이 임금을 올린 이유는 ‘최저임금과 물가인상 때문’이라는 답변이 69.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2위는 ‘직원 사기를 높이고 이탈을 막기 위해서'(44%)로, 도전적인 환경임에도 기업들이 인재 확보에 고심하고 있었다.

이밖에 기존부터 관행적으로 인상해오고 있어서(13.1%), ‘업계 전반적으로 연봉이 상승하고 있어서'(11.4%), ‘경영성과 또는 재정상황이 좋아져서'(10.9%) 등이 있었다.

연봉을 동결했거나 삭감했다고 답한 기업들(49개사)은 그 이유로 ‘작년 실적이 좋지 않아서’ 42.9%(이하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들었다. ‘비용 절감이 필요해서’, ‘올해 매출 악화가 예상돼서’는 각각 26.5%로 공동 2위였으며, ‘재무 상태는 나쁘지 않지만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서'(14.3%)라는 응답도 있었다.

올해 연봉을 인상하지 못한 기업들의 절반(44.9%) 가량은 지난해 초에도 연봉을 못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연속 임금이 제자리 걸음 중이거나 후퇴하고 있는 셈이다. 심지어 40.8%는 인력 구조조정 시행을 확정했거나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앞으로의 2~3년 뒤 미래의 연봉 인상 기조에 대해 ‘현재 수준에서 당분간 유지될 것'(40.4%)으로 내다봤다. 이밖에 ‘인재 확보 경쟁의 결과로 계속해서 인상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8%였으며 ‘일부 인기 직종과 기술분야에 따라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는 답변은 17.2%였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