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도 ‘AI’ 수혜주…올해 영업이익 24% 뛴다

이투데이
|
2024.05.27 오후 04:51
|

LG전자도 ‘AI’ 수혜주…올해 영업이익 24% 뛴다

전기 먹는 하마 ‘AI 데이터센터’ 냉각 토탈솔루션 확보
에어솔루션 부문 매출 성장…H&A 사업부 수익성 개선

출처=KB증권

LG전자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증가 수혜에 힘입어 올해 대폭 증가한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서는 2021년 처음 돌파했던 영업이익 4조 원을 올해 재돌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27일 LG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66% 오른 9만6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올해 들어 주가는 9만 원대 박스권에서 횡보하고 있지만, 실적 전망치는 상향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들이 전망한 LG전자의 올해 영업이익은 4조327억 원으로 한 달 전 3조9828억 원에서 상향조정됐다. KB증권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영업이익 4조4000억 원대를 전망했다. 신영증권도 4조3720억 원 규모의 영업이익을 예상했다.

LG전자는 전기 먹는 하마인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과 발열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냉각 시스템분야에서 토탈솔루션을 확보하고 있다. 향후 AI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은 공랭식, 수랭식, 칩 직접 냉각 및 액침 냉각 등을 혼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되는데 다양한 냉각 시스템 토탈 솔루션을 확보한 LG전자의 수혜가 기대된다. 신영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149억 달러(약 20조3300억 원) 수준의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은 2030년 303억 달러(약 41조3500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2029년까지 국내 데이터센터 규모는 연평균 12.7%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북미를 비롯한 해외 신규 건설 중인 반도체, 배터리, 원전공장에 필수 탑재되는 중앙공조 냉각시스템 칠러(Chiller)는 연평균 40%의 매출 성장세가 예상된다. 칠러 제품은 데이터센터 투자 수요 증가와 함께 향후 새로운 캐시카우가 될 가능성이 크다. LG전자는 이미 LG유플러스의 데이터센터에 칠러를 납품했고, 타 IT기업의 데이터센터에도 공급하고 있다.

이는 향후 가전(H&A) 사업의 추가적인 실적 레벨업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LG전자 가전 매출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에어솔루션 부문의 경우 올해 매출이 1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H&A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1조5000억 원, 2조4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 19%씩 성장할 전망이다. 향후 B2C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경쟁 심화가 예상되지만 B2B 향 냉난방공조시스템(HVAC) 사업 확대를 통해 H&A 사업부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LG전자는 AI 데이터센터 냉각 시스템, 칠러 등 B2B HAVC의 고성장을 기반으로 올해 4조4000억 원, 내년 5조1000억 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된다”며 “과거 7년간(2017~2023년) 연간 2조~3조 원대 영업이익에서 탈피해 실적 레벨업이 기대된다”고 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