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희진, 챗GPT 해답과 유사한 분쟁 진행방향 ‘눈길’

스포츠투데이
|
2024.05.23 오후 02:48
|

민희진, 챗GPT 해답과 유사한 분쟁 진행방향 ‘눈길’

사진=DB

[스포츠투데이 윤혜영 기자] 하이브와 산하 레이블 민희진 어도어(ADOR) 대표 간 분쟁 중인 가운데, 오픈AI 챗GPT가 제시한 대응 방법이 현재 분쟁 진행 방향과 유사해 눈길을 끈다.

최근 챗GPT가 ‘배임횡령 혐의로 해임 위기에 몰린 자회사 대표이사가 모회사를 공격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라는 질문에 답한 내용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해당 질문에 “모회사를 공격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법률적, 전략적, 그리고 조직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다”며 7가지 주요 방법을 소개한다.

챗GPT에 따르면 첫 번째는 내부고발이다. 챗GPT는 “자회사 대표이사는 모회사의 불법 행위나 비윤리적인 행동에 대한 내부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회사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한다.

이어 두 번째로는 “언론과의 협력”이라며 “언론에 접근하여 모회사의 문제점이나 비리를 폭로할 수 있다. 언론 보도틀 통해 여론을 움직여 모회사의 이미지를 훼손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세 번째는 법적 소송이다. 챗GPT는 “모회사를 상대로 법적 소송울 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임 과정에서 절차적 문제가 있었다고 주장하거나, 모회사가 자회사의 경영에 부당하게 개입했다고 주장합 수 있다”고 설명한다.

네 번째로 “이사회에서의 동맹 형성”을 꼽으며 “자회사 대표이사가 모회사의 이사회에서 동맹을 형성하여 자신에 대한 해임 결정을 저지하거나, 모회사 경영진을 압박할 수 있다”고 하고, 다섯 번째로 “주주 설득”을 언급하며 “주요 주주들에게 접근하여 자신에 대한 해임 결정이 부당하다는 점올 설득하고, 주주들이 모회사 경영진에게 압력을 행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챗GPT는 “여섯 번째 대중의 지지 얻기”라며 “직원, 협력사, 고객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접근하여 지지를 얻고, 이를 통해 모회사에 대한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일곱 번째 경영 성과 강조, 자신이 자회사를 위해 이룬 성과를 부각시키고, 해임이 자회사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

그러면서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자회사 대표이사는 모회사를 공격하여 해임 위기를 모면하거나, 최소한 자신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들은 신중하게 계획되고 실행되어야 하며, 법적및 윤리적 문제를 철저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해당 내용을 보고 하이브와 민 대표의 갈등 진행 방향과 유사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민 대표는 기자회견 등을 통해 하이브의 문제점을 고발하며 하이브를 압박하는 모양새로 나서고 있다.

[스포츠투데이 윤혜영 기자 ent@stoo.com]
<가장 가까이 만나는, 가장 FunFun 한 뉴스 ⓒ 스포츠투데이>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