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0억원 규모 저궤도 위성통신사업 예타통과…디지털 우주기술 교두보

전자신문
|
2024.05.23 오후 02:10
|

3200억원 규모 저궤도 위성통신사업 예타통과…디지털 우주기술 교두보

@게티이미지뱅크

저궤도위성통신 기술 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6년간 3200억원 규모 예산이 기업과 연구기관 기술 개발에 지원된다. 6세대(6G) 이동통신과 우주경제 시대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가 마련된 셈이다.

과학기술혁신본부는 23일 서울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진행한 2024년 제4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 예타를 통과시켰다.〈관련기사 6면〉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총사업비 3199억9000만원(국비 3003억5000만원)을 투입한다. 2030년 초까지 6G 표준 기반 저궤도 통신위성 2기를 발사한다. 지상국, 단말국까지 포함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시범망을 구축한다.

과기정통부는 통신탑재체, 지상국, 단말국 분야에서 11개 핵심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저궤도 통신위성이 지구 주위를 빠르게 이동하며 통신을 제공하는 특성을 고려해 △위성 추적 및 통신 링크(연결) 형성 △위성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 오류 보상 △위성 간 핸드오버 △위성 간 중계 및 트래픽 분산 등을 위한 위성 간 링크 기술을 개발한다. 모든 기술은 6G 표준 개발과 연계된다.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은 예타 도전 3번째만에 통과됐다. 기존 예타에서 우주산업에 중복된 부분을 과감하게 제거하고, 6G 대응과 핵심기술 자립화에 초점을 맞춰 심사위원을 설득했다. 우리 기업이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핵심기술을 개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연구개발(R&D) 자금과 테스트베드로 마중물을 조성한다는 의미다.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은 5월 통과로 내년 정부 예산에 반영할 수 있게 됐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이동통신 분야의 기술력과 개발 경험을 위성통신까지 확장한다면 우리나라도 충분히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표준 기반으로 전환되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에 적기에 대응해 국내 위성통신 산업경쟁력을 제고하겠다”고 말했다.

박지성 기자 jisung@etnews.com,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