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 원하는 기업 있다는데… KAI 매각이 어려운 이유

머니s
|
2023.03.18 오전 09:51
|

인수 원하는 기업 있다는데… KAI 매각이 어려운 이유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이 회사 민영화에 대해 선을 그었다. 사진은 지난 16일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강 사장(왼쪽에서 세번째)과 회사 임원들. /사진=김동욱 기자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이 업계에 떠도는 회사 매각설을 일축했다. 최대 주주인 정부의 매각 의지가 없고 KAI가 민간으로 넘어가면 안보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강 사장은 전날 서울 영등포구 공군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매각은 수요와 공급의 시장과 같다”며 “KAI를 원하는 몇 개 회사가 있다는 점은 부정하지 않겠으나 공급 측면에서 정부가 매각을 원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KAI의 최대 주주는 지분 26.41%를 보유한 한국수출입은행이다. 2대 주주는 국민연금(지분 9.92%)이다.

업계에서는 KAI가 민영화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돼 왔다. 한화그룹이 방산사업 강화를 위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하면서 다음 타깃은 KAI가 될 것이란 시각이다. 정부가 HMM 매각을 추진하는 등 민영화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도 KAI 매각설에 힘을 실었다.

하지만 KAI는 매각 추진 가능성이 적다고 봤다. 실적 개선에 성공하고 향후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회사를 정부가 매각하겠느냐는 게 강 사장 의견이다. 그는 “KAI가 손해를 보거나 국민에게 비난받는 회사였다면 정부가 매각을 추진해 체제변화를 시도하겠지만 지금은 잘하고 있지 않느냐”며 “잘하고 있으니 일단 놔두고 보자는 게 정부 생각으로 안다”고 했다.

KAI는 지난해 매출 2조7869억원, 영업이익 1416억원을 기록하며 실적 개선에 성공한 바 있다. 전년 대비 매출은 8.8%, 영업이익은 143.1% 상승이다. 수주잔액은 24조6000억원으로 창사 이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수주잔액이 높은 점을 감안, 한동안 실적 개선이 지속될 전망이다.

강 사장은 안보 강화를 위해서라도 정부가 KAI를 매각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그는 “신냉전이 도래하면서 안보가 중요해졌는데 안보의 핵심은 항공우주전력”이라며 “국내 항공우주 전력의 50% 정도를 맡고 있는 KAI가 민간으로 넘긴다면 안보가 보장될 수 있겠는가”라고 강조했다. “천문학적인 예산과 긴 개발 기간, 실패 가능성이 큰 연구·개발(R&D) 사업을 민간이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다른 나라를 봐도 항공우주전력을 생산하는 방위산업체는 대부분 정부가 소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직원들이 매각을 반대한다는 점도 고려 사항이다. 강 사장은 “사실 저에게 있어서는 매각 과정에서 임직원들의 의지가 반영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며 “임직원 90% 이상이 매각을 반대하고 있기 때문에 저도 매각 반대 활동을 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