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가상시장 리스크 관리 강화… 이복현 “회계정보 공시 유도”

머니s
|
2023.01.16 오후 03:49
|

금감원, 가상시장 리스크 관리 강화… 이복현 “회계정보 공시 유도”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해 11월14일 서울 중구 명동1가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감원, 은행지주 이사회 의장 간담회에 참석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사진=임한별 기자

금융감독원이 가상자산 시장의 리스크 관리에 나선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16일 학계와 연구계, 업계 등 금융 및 가상자산 전문가 12명과 토론회를 개최하고 가상자산 관련 잠재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 금융시장 안정성을 평가한 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 원장은 “먼저 회계 유관기관과 함께 가상자산 발행과 보유와 관련한 주석공시 의무를 신설하고 모범사례도 배포하는 등 가상자산에 대한 충실한 회계정보 공시 유도를 통해 회계기준을 정립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가상자산 관련 데이터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가상자산 시장 모니터링 툴을 개발해 잠재리스크 측정·평가역량을 제고하겠다”며 “가상자산과 관련 금융회사, 가상자산 업계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설문조사를 계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토론회에서는 가상자산 시장과 전통적 금융시장 간 상호관계 ▲가상자산 시장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가상자산 잠재리스크 모니터링 툴 등이 논의됐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가상자산 시장과 전통적 금융시장 간 상호관계와 관련해 스테이블코인이나 CBDC가 은행예금을 대체할 경우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상승과 자금중개 기능 약화, 자원배분의 효율성 저하 등으로 금융시스템의 리스크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가상자산 시장이 확대될 경우 전통적 금융시장으로의 위험전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구축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부곤 금감원 디지털금융혁신국장은 “가상자산 시장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잠재리스크가 전이되는 경로로 총 9개의 경로가 있다”고 분석하고 각 경로별 국내 위험도를 평가했다.

가상자산 데이터 플랫폼 기업 쟁글의 김준우 대표는 “가상자산 잠재 리스크 모니터링 툴과 관련해 가상자산 데이터는 블록체인상에서 직접 추출·정제해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모니터링 툴이 부재해 정보비대칭 문제가 심각하고 이로 인한 투자자 피해 우려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