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바꿔야 하나요”… 과잉정비·예방정비 사이 수입차 ‘딜레마’

머니s
|
2022.12.24 오전 11:29
|

“지금 바꿔야 하나요”… 과잉정비·예방정비 사이 수입차 ‘딜레마’

자동차업계는 과잉정비와 예방정비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사진은 자동차 점검 장면. /사진=뉴스1

최근 한 수입차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과잉정비를 강요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브레이크 패드 수명이 더 남았음에도 미리 교체하는 등의 행동으로 과잉정비를 일삼았다는 것. 하지만 이는 해당 브랜드 판매사의 무상서비스 중 하나로 알려지며 일단락됐다.

24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 년 동안 ‘예방정비’와 ‘과잉정비’ 딜레마에 대응하기 위해 각 자동차 제조사들은 다양한 서비스 매뉴얼을 만들어왔다. 한 가지 행동을 두고 업체와 소비자의 해석이 다르면 분쟁이 생길 수밖에 없어서다.

자동차정비업계에서는 예방정비와 과잉정비는 이른바 ‘한 끗 차이’라고 설명한다. 자동차는 안전을 최우선가치로 삼아야 해서 되도록 미리 정비를 권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소비자가 이런 점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고 한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병원에 가서 엑스레이나 MRI를 촬영한다고 무조건 몸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볼 순 없지 않느냐”며 “자동차 정비의 경우도 진단 결과 당장은 이상이 없더라도 곧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면 미리 조치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가 생길 것을 알면서도 그냥 두는 경우가 오히려 비양심적”이라고 덧붙였다.

정비업계에서는 만약 소비자가 가까운 시일 내 다시 입고해야 하는 상황이면 미리 교체를 권유하는 경우가 많다. “왜 미리 바꾸라고 얘기를 안 해서 또 오게 만드느냐”고 항의하는 소비자가 있어서다.

수입차 브랜드들은 신차 구매 시 엔진오일과 브레이크 패드 등을 무상으로 바꿔주는 것을 서비스품목에 포함한다. 최근엔 국산차의 경우도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 자동차 회사들은 전기차 관련 정비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회사 정책과 구매시점 프로모션에 따라 세부적인 내용은 다를 수 있지만 교환품목을 구체화하는 건 물론 사용기간과 주행거리를 제한하는 게 일반적이다. 기간과 품목 등을 명시한 별도 쿠폰으로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무상 교환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이때 정상적인 교환주기보다 먼저 정비하는 경우가 있다는 게 자동차업계의 설명이다. 유효기간이나 기준 주행거리를 초과하면 무상 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 있어서다.

수입차 정비업계 관계자는 “무상 서비스를 진행하다 보면 브레이크 패드가 아까운 경우가 많다”며 “수명이 많이 남은 경우엔 새 패드를 먼저 고객에게 드리고 나중에 교체시기가 됐을 때 해당 제품으로 교환을 권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론 이 같은 경우 추후 무상으로 교체해주기도 하지만 부품비를 제외한 교체비용을 별도로 지불하기도 하는 만큼 잘 판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철저히 정비 관련된 기준에 따라 소비자에게 동의를 구하는데 이때도 어려운 용어 대신 최대한 풀어서 설명해준다”며 “국산차업계와 수입차업계 모두 과잉정비와 예방정비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