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 “밸류업 취지 공감·적극 참여…시행 초기 공시 단순화 필요”

아시아투데이
|
2024.05.16 오후 06:09
|

증권업계 “밸류업 취지 공감·적극 참여…시행 초기 공시 단순화 필요”

금융투자협회 간담회
금융투자협회는 16일 ‘자본시장 밸류업 국내·외국계 증권사 임원 간담회’를 개최했다. /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협회는 1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금융투자업계의 의견을 듣고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자본시장 밸류업 국내·외국계 증권사 임원 간담회’을 열었다.

간담회에는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전무, 천성대 금융투자협회 증권·선물본부장, 조형수 모간스탠리증권 부문장, 이강혁 미래에셋증권 부문대표, 김학균 신영증권 전무, 김현정 제이피모간증권 수석본부장, 김상훈 KB증권 상무, 김지산 키움증권 상무, 손종민 한화투자증권 상무, 자본시장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증권사 임원들은 자본시장 밸류업에 대한 방향성에 공감하며 최근 발표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들은 자본시장 밸류업은 청년층의 건전한 자산 증식과 고령사회 대응을 위해서 반드시 가야 할 방향이라며, 부동산에 편중된 가계자산을 생산적 금융인 자본시장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봤다.

또한 시행 초기에는 PBR, ROE 등 필수지표를 중심으로 공시를 단순화하고, 이후 점진적으로 확대해나간다면 기업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어 지표를 활용하는 투자자 입장에서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데 뜻을 모았다.

김학균 신영증권 전무는 “밸류업은 한국증시의 투자관행과 문화를 바꾸는 일”이라며 “정부-기업 관계에서 출발한 밸류업 방향은 결국 기업-주주 관계로 바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손종민 한화투자증권 상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기업의 잘못된 경영으로 인해 발생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지금까지 한국 경제와 기업이 성장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산업 성숙도가 높아짐에 따라 성장과 분배의 균형이 필요한 시점에 도달한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들은 밸류업을 통해 증시가 활성화하면 금융투자업계가 가장 수혜를 보는 만큼, 밸류업 동참 기업들이 수월하게 필요 자금을 조달하고, 적정하게 기업 가치를 평가받도록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리서치센터의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증권사의 기업금융(IB) 비즈니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김지산 키움증권 상무는 “키움증권은 발행주식의 8% 자사주 소각, 주주환원율 30% 이상, ROE(자기자본이익률) 15% 달성 목표 등 구체적인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선제적으로 발표했다”고 말했다.
이강혁 미래에셋증권 부문대표는 “미래에셋증권도 상반기 내 밸류업 프로그램과 관련한 계획 마련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밸류업 정책이 효과를 내기 위한 의견도 나왔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알기 쉽도록 밸류업 관련 정보를 통합해 영문으로 제공하는 방안하며 정부 차원의 마케팅을 지속하거나, 자율공시 내용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방안 등이다.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전무는 “리서치센터장, 자산운용사에 이어 국내외 증권사 임원 간담회를 연달아 개최하며 업계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금투협은 앞으로도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업계 및 시장과의 소통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