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서울 아파트 52%가 하락거래…’노도강’ 최대 70%

아시아투데이
|
2024.01.16 오전 10:30
|

작년 4분기 서울 아파트 52%가 하락거래…’노도강’ 최대 70%

서울 노원구 일대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
서울 노원구 일대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작년 4분기에 거래된 전국 아파트의 절반가량이 3분기 실거래가보다 하락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9월 말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6억∼9억원) 대출이 중단되면서 매수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자 급매물만 거래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6일 부동산R114 등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신고된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격이 3분기보다 낮은 경우는 전체의 49.6%에 달했다.

이는 동일 아파트, 동일 주택형에서 비교 기간 내 각각 1건 이상씩 거래가 발생한 2만3871건의 실거래가를 비교한 결과다.

작년 초 정부의 부동산 연착륙 대책 발표로 규제지역이 대거 해제되고 특례보금자리론이 공급되면서 9개월 연속 아파트값이 상승했다. 하지만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대출 중단과 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수요 심리가 위축되면서 10월 이후 분위기가 변화됐다.

한국부동산원이 전날 공개한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지난해 10월 0.22% 하락했고, 11월(-0.75%)에도 약세였다. 특히 서울의 경우 지난해 11월 실거래가지수 낙폭이 -1.81%로, 10월(-0.09%)보다 커졌다.

특히 지난해 3분기까지 아파트값이 비교적 많이 오른 서울도 4분기 거래 중 52.6%가 3분기보다 낮은 가격에 손바뀜됐다.

같은 기간 경기(51.3%)와 인천(52.5%) 역시 하락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다. 이에 수도권 전체의 하락거래도 51.8%를 차지했다.

서울 자치구별로는 도봉구(70.7%), 강북구(66.7%), 노원구(59.2%) 등 대표적인 중저가 아파트 밀집지역으로 꼽히는 ‘노도강’의 하락거래가 두드러졌다.

실제 도봉구 방학동 청구아파트 전용면적 84.97㎡형은 작년 9월 최고 5억9900만원에 팔렸지만 12월에는 이보다 9000만원 이상 하락한 5억300만원에 팔렸다.

노원구 상계동 보람2단지 전용 68.99㎡형도 작년 8월 말 6억1500만원에 손바뀜됐지만 10월에는 5억9500만원, 12월에는 5억7500만원으로 하락세가 짙어졌다.

이밖에 동작구(64.2%)와 금천구(63.9%), 종로구(60.9%) 등지의 하락거래 비중도 60%를 넘어섰다.

강남권은 송파구의 하락거래가 51.2%로 과반을 차지했고, 서초구(49.3%)도 하락거래 비중이 상승거래(43.3%)보다 컸다.

공인중개사무소
서울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외벽에 매물 안내문이 걸려 있다./연합뉴스

다만 본격적인 거래 회복 전인 2022년 말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금액에 팔리는 경우가 잦았다.

지난해 4분기 거래된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를 2022년 4분기 거래와 비교하면 상승거래 비중이 71.0%(하락거래 26.5%)에 달했다.

수도권 전체로는 56.5%, 전국은 48.8%가 상승거래로, 각각 하락거래(40.0%, 47.7%)보다 많았다.

실제 지난해 4분기에 거래된 서울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격은 10억3790만원이었다. 동일 아파트·주택형 기준 전년 4분기 평균 실거래가(9억5228만원)보다 9% 높은 금액이다.

전국도 작년 4분기 기준 평균 실거래가가 3억3186만원으로, 전년 동기(3억2289만원) 대비 2.78% 높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당분간 가격도 약세를 보일 것이란 게 업계 시각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작년 1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이달 15일 기준 1535건에 그쳤다. 작년 1월(1413건) 이후 11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부동산원이 예상한 지난해 12월 아파트 실거래가 잠정지수는 전월 대비 전국 -0.85%, 서울 -1.61%로, 3개월 연속 하락세가 예상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