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꽁꽁’·가격 ‘뚝’… 규제에 발목잡힌 오피스텔

아시아투데이
|
2023.05.23 오후 05:50
|

거래 ‘꽁꽁’·가격 ‘뚝’… 규제에 발목잡힌 오피스텔

부동산
서울 오피스텔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집값 상승기 때 아파트 대체재로 각광받던 오피스텔이 요즘 된서리를 맞고 있다. 수요가 줄면서 거래는 뜸해졌고 가격도 하락세가 뚜렷하다. 청약시장도 꽁꽁 얼어붙었다.

정부의 전방위적인 규제 완화로 서울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가 되살아나고 가격도 바닥을 다지는 아파트 시장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1~2인 가구와 서민들이 선호하는 오피스텔 시장을 살리기 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매매거래량은 610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3.9% 줄었다.

가격도 하락세다. 한국부동산원 통계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국 기준으로 1.19% 떨어져 직전 분기(-0.82%)보다 낙폭이 커졌다. 지난해 3분기(-0.24%) 이후 3분기 연속 하락세인 데다 낙폭도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서울(서울 -0.59%→-0.81%)은 물론 지방(-1.21%→-1.36%)도 낙폭을 키웠다.

청약 경쟁률도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해 1~5월 전국 오피스텔 청약 경쟁률은 4대 1로 2020년 25.2대 1, 2021년 4.8대 1, 지난해 13.8대 1 등 최근 4년 중 가장 낮았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로 아파트 대체 상품인 오피스텔의 매력이 상대적으로 반감된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부동산 규제 완화책이 아파트에 집중되고 그동안 집값도 많이 내린 상황에 수요가 오피스텔보다는 아파트로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피스텔이 장기 저리 대출 상품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특례보금자리론 대출 대상에서 배제되는 등 대출 문턱이 여전히 높은 것도 시장 위축의 원인으로 꼽힌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즈니스학과 교수)는 “주거용 오피스텔은 주택으로 분류돼 청약이나 세금 측면에서 불이익을 받는 데다 최근 들어선 전세사기 이슈와 맞물려 한동안 수요 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는 1~2인 가구와 서민이 주로 거주하는 소형 오피스텔의 경우 주택 수 산정에서 빼거나 각종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등 시장 연착륙 방안을 서둘러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