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오른다…”최대 1만2150원”

내달부터 매달 590만원 이상의 월급을 받는 직장인의 국민연금 보험료가 인상된다. 본인 부담 기준으로 최소 0원 초과에서 최대 월 1만2000원가량이 오른다.다만 보험료를 더 많이 내는 만큼 노후에 더 많은 연금액을 받는다.1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민연금 보험료를 매기는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이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최근 3년간 평균 소득변동률(4.5%)에 맞춰 7월부터 손질된다.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은 590만원에서 617만원으로, 하한액은 37만원에서 39만원으로 각각 인상된다. 이 기준은 내년 6월까지 1년간 적용된다.상한액…

작년 농어촌가구 소득 ‘역대 최고’…농가 5082만·어가 5478만

통계청, ‘2023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 지난해 우리나라 농어촌가구 평균소득이 일제히 증가하면서 역대 최고치를 보였다. 통계청은 24일 전국 3300개 농가와 1000개 어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농가 평균소득은 5083만원으로 1년 전보다 10.1% 늘었다. 어가소득은 전년 대비 3.5% 증가한 5478만원으로 2년 연속 증가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농업총수입에서 농업경영비를 뺀 농업소득은 1114만원으로 17.5% 증가했다. 농업총수입은 3792만원으로 전년 대비 9.6% 늘었다. 농작물수입(10.3%)과 축산수입(4.6%) 등이 증가했다. 농업소득은 2022년 쌀값 등이 하락하면서 26,8% 감소했던 기저효과 등이 작용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은 지난해의 경우 쌀값 안정세와 과수와 채수 가격이 오르면서 수입이 증가한 영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농업경영비는 2677만원으로 6.6% 늘었다. 재료비(-0.4%)는 소폭 감소했으나 노무비(8.2%), 경비(13.0%)가 늘었다. 농업외소득은 2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2% 늘었다. 겸업소득(7.5%)과 사업외소득(2.5%)이 모두 늘었다. 이전소득은 1718만원으로 12.7% 증가했다. 정부 보조금 증가로 공적보조금이 12.9% 늘었고 사적보조금도 10.7% 늘었다. 비경상소득은 249만원으로 12.4% 증가했다. 지난해 농가 연평균 가계지출은 3795만원으로 전년보다 6.3% 늘어났다. 지난해 말 기준 농가 평균자산은 6억804만원으로 1.4% 감소했다. 반면 평균부채는 4158만원으로 18.7% 증가했다. 어가 어업소득은 2141만원으로 전년 대비 3.3% 늘었다. 어업총수입은 7845만원으로 5.7% 줄었지만, 경영비가 5704만원으로 8.7% 감소한 영향이 컸다. 어업외소득은 1463만원으로 15.3% 증가했다. 겸업소득(16.1%)과 사업외소득(14.7%)이 모두 늘었다. 이전소득은 1619만원으로 5.5% 감소했다. 공적보조금(-5.2%)과 사적보조금(-17.1%)이 감소했다. 비경상소득은 254만원으로 전년 대비 7.2% 늘었다. 지난해 어가 연평균 가계지출은 2022년보다 5.5% 늘어 3389만원을 기록했다. 2023년 말 기준 어가의 평균자산은 5억1427만원으로 0.7% 늘었다. 평균부채는 6651만원으로 11.3% 증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누나, 나야…” 매장서 옷 벗기고 성관계 요구, 거부하자 주먹 ‘퍽퍽퍽’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승리는 사업 확장, 정준영은 이민 준비 중” 버닝썬 범죄자들 근황 “김호중, 죄질 나쁘고 수사기관 농락하려 한 정황 있어…구속될 듯” [법조계에 물어보니 410] ‘진드기 정치’ ‘얼치기 3류’ 독해지는 홍준표의 입

월286만원 평균소득자 국민연금 10년 내도 월35만7천원 불과

서울 서대문구 국민연금공단 서울북부지역본부 모습.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다달이 286만원 정도를 버는 ‘평균 소득자’가 올해 국민연금에 가입해 10년간 보험료를 내더라도 노후에 매달 받을 연금액은 겨우 35만7천원가량밖에 안 되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