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마른 매물에… 전세시장 심상찮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심상찮다. 지난해 5월부터 한 주도 빠지지 않고 전세금이 오르고 있다. 신축 및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몰리면서 매물이 부족해지자 인근 구축 단지로 가격 상승세가 확산하는 모양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5월 둘째 주(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보다 0.07% 올랐다. 작년 5월 넷째 주 이후 52주 연속 상승세다. 신고가 전세 거래 사례도 늘고 있다. 동작구 흑석동 ‘롯데캐슬 에듀포레’ 아파트 전용면적 107㎡형은 지난달 7일 최고가인 13억원(6층)에 전세 계약됐다. 동일 평형이 작년 9월 8일 10억800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7개월 새 2억원 넘게 올랐다. 용산구 이촌동 ‘LG한강자이’ 전용 202㎡형도 지난달 2일 22억원에 갱신 계약을 체결했다. 역대 최고가다. 인근 한 공인중개사는 “아파트 전세를 찾는 세입자가 많으나 전세 매물이 워낙 귀하다 보니 부르는 게 값”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 전세시..

[집파보기] “다음 계약땐 1억 오를 수도”… 전셋값 상승 속타는 세입자

#. 서울 마포구 대흥동 ‘마포 자이2차’ 아파트에 사는 A씨는 지난 3월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전용면적 84㎡형을 기존 가격인 9억8000만원에 전세 계약을 연장했다. 같은 평형대가 비슷한 시기에 신규 전세 계약한 가격이 10억3000만~10억5000만원인 것과 비교해 5000만~7000만원 쌌다. 하지만 2년 후가 걱정이다. 최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계속해서 오르면서 계약 만기가 끝나는 시기에 1억원은 더 준비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고공행진 중이다. 52주 동안 계속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년 동안 상승폭만 따지면 5.19%로 완만한 수준이지만, 공급 물량 부족으로 전문가들은 내년까지 상승세가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오는 7월 말이면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계약 만기 물건 등이 나오며 가격 상승을 더 부추길 것으로 내다봤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 대비 0.07%..

[집파보기] ’52주째 상승’…서울 아파트 전셋값, 이유 있는 고공행진

아시아투데이 김지혜 기자 = #. 서울 마포구 대흥동 ‘마포 자이2차’ 아파트에 사는 A씨는 지난 3월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전용면적 84㎡형을 기존 가격인 9억8000만원에 전세 계약을 연장했다. 같은 평형대가 비슷한 시기에 신규 전세 계약한 가격이 10억3000만~10억5000만원인 것과 비교해 5000만~7000만원 쌌다. 하지만 2년 후가 걱정이다. 최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계속해서 오르면서 계약 만기가 끝나는 시기에 1억원은 더 준비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고공행진 중이다. 52주 동안 계속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년 동안 상승폭만 따지면 5.19%로 완만한 수준이지만, 공급 물량 부족으로 전문가들은 내년까지 상승세가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오는 7월 말이면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계약 만기 물건 등이 나오며 가격 상승을 더 부추길 것으로 내다봤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집파보기] 씨마른 서울 아파트 전세시장…”전셋값 더 오른다”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기자 =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세가 심상찮다. 지난해 5월부터 한 주도 빠지지 않고 전세금이 오르고 있다. 신축 및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몰리면서 매물이 부족해지자 인근 구축 단지로 가격 상승세가 확산하는 모양새다. 1년 전만 해도 ‘역전세'(전세 시세가 계약 당시보다 낮은 현상) 우려가 컸는데, 이제는 전세난을 걱정해야 할 판이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5월 둘째 주(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보다 0.07% 올랐다. 작년 5월 넷째 주 이후 52주 연속 상승세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전세 매물 자체가 귀해지면서 신축·역세권 단지에 이어 전세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기존 아파트 단지에서도 상승 거래 사례가 늘면서 전셋값 오름세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라고 말했다. 신고가 전세 거래 사례도 늘고 있다. 동작구 흑석동 ‘롯데캐슬 에듀포레’ 아파트 전용면적 107㎡형은 지난달 7일 최고가인 13억원(6층)에 전세 계약됐다…

‘다시 갭투자’…전셋값 상승에 슬그머니 꿈틀?

수도권 전셋값 9개월 연속 상승세 서울 노원구, 3개월간 갭투자 거래 1위 “공급 부족에 따른 갭투자, 당분간 일부 지역에만 나타날 것” 최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이 고공 행진하면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17일 KB부동산 데이터허브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월보다 0.52%,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38% 오르며 2023년 7월 이후 9개월 연속 상승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지난해 7월 5억6981만원에서 올해 3월 5억9390만원으로 2409만원이 올랐다. 시장에 전세물량이 줄어들면서 전세가격이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아실의 수도권 인터넷 매물 현황 집계 결과, 지난달 2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총 3만62건으로 1년 전 보다 27.6%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인천도 1만1795건에서 7210건으로 지속적으로 전세 매물이 줄고 있다. 경기도 역시 3만7474건으로 1년 전과 비교해 24.3% 줄었다. 이에 갭투자가 다시 유행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전셋값이 상승해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가 좁혀지면서 비교적 적은 투자금으로 매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수도권 전세가율을 살펴보면 지난해 10월만 해도 59.6%였던 수도권 전세가율은 4월 현재 61.2%로 높아졌으며, 서울의 전세가율도 4월 현재 53.2%로 집계됐다. 실제로 최근 3개월간 수도권에서 갭투자 매매가 가장 크게 증가한 지역은 서울 노원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원구는 지난 2월 이후 이뤄진 424건의 아파트 매매 거래 중 4.4%인 19건이 갭투자였다. 이어 성동구(19건), 마포구(19건), 송파구(16건), 영등포구(15건) 등의 순이었다. 인천에서 갭투자 거래가 가장 많이 이뤄진 곳은 인천 서구로, 전체 970건의 거래 중 3.5%인 34건이 갭투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연수구가 26건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부평구(17건), 남동구(14건), 계양구(13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경기도에선 화성시가 전체 1421건 중 3.6%에 해당하는 52건이 갭투자로 나타나면서 갭투자 매매거래 증가지역 1위를 차지했다. 화성시의 경우 전국에서도 가장 갭투자가 성행하는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GTX-A노선 개통 영향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 뒤로 수원시 영통구(36건), 시흥시(31건), 남양주시(29건), 하남시(25건) 순으로 집계됐다. 다만 전문가들은 갭투자가 당분간 일부 지역에만 나타나는 한정된 현상일 것으로 보고 있다. KB부동산 관계자는 “갭투자는 기본적으로 집값이 오른다는 전제하에 진행된다”며 “현 매매시장 분위기는 거래 자체가 활발하지 않은 데다 집값도 침체 및 조정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공급 부족에 따른 전세가 상승으로 갭투자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라며 “수도권에서는 갭투자가 용이한 전세가율 70% 이상 단지들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 갭투자는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누나, 나야…” 매장서 옷 벗기고 성관계 요구, 거부하자 주먹 ‘퍽퍽퍽’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정지선 직전 바뀐 노란불…교차로 중간에 멈출 것 같아도 무조건 정지하라? [디케의 눈물 225] “대만해협 어떻게 되든 무슨 상관”?…이재명이 틀렸다 김건희 여사, 캄보디아 총리 공식 오찬 참석…5개월 만의 공개 행보

전세보증보험 가입 ‘필수’라지만…“그런 매물 없어요”

1~3월 HUG 전세보증 7만5593가구 발급, 2022년 대비 2만가구 ↑ 대부분 반전세 매물, 보증보험 가입하려면 보증금 깎아야 전셋값 산정 기준 강화된 탓, 공시가격 하락도 한 몫 #. 경기도에서 출퇴근하던 A씨(29)는 서울 관악구 일대에서 자취를 할 수 있는 원룸을 찾고 있다. 청년을 위한 저리 전세자금대출 상품을 활용하려고 하는데, 마음에 드는 집을 찾기가 쉽지 않다. 특히 전세사기 이슈 후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 집을 찾고 있으나 공인중개사들은 그런 매물은 거의 없다고 고개를 젓는다. 그러던 중 전세가격도 적당하고, 역과 가까운 집을 찾았다. 문제는 전세보증보험 가입 기준보다 전세가격이 높다는 것인데, 융자와 선순위보증금 비중이 낮아 안전다하는 중개사의 설득에 A씨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전세사기가 전국적으로 확산된 이후 전세보증보험 가입자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중개 현장에서는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 전세 매물이 씨가 말랐다는 상반된 얘기가 나온다. 13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3월 전세보증보험 발급 실적은 7만5593가구(17조5691억원)로 집계됐다. 전세보증보험은 지난해를 기점으로 크게 증가했다. 지난 2021년 23만2150가구(51조5508억원), 2022년 23만7797가구(55조4510억원) 수준에 불과했던 전세보증보험 발급 건수는 지난해 31만4456가구(71조2676억원)로 확대됐다. 1분기 기준으로는 2021년 5만3335건(11조7873억원), 2022년 5만628건(11조5808억원) 등 5만여가구 수준에 머물렀으나, 지난해 8만118가구(18조7193억원)로 증가했다. 그러나 중개현장에서 체감하는 것은 다르다. 오피스텔을 비롯해 다가구·다세대 주택 전세 물량 자체도 많이 감소한 데다가 그마저도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매물은 극히 드물다는 것이 공인중개사들의 얘기다. 관악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가장 문제가 된 건 공시가격 150%까지 가입할 수 있었던 것을 126%로 낮춘 것이다. 예전엔 1억5000만원으로 전세 세입자를 받았던 임대인이 지금은 1억2600만원으로 낮춰야 한다”며 “여기에 공시가격이 낮아진 걸 고려하면 실제로 내려야 할 보증금은 2400만원이 아니라 3000만~4000만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5월부터 HUG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위한 전세가격이 공시가격 150%(공시가격 150%·전세가율 100%)에서 126%(140%·90%)로 낮아진 가운데, 공시가격마저 2년 전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지난해 18.63% 하락한 이후 올해 1.52% 상승에 그쳤다. 이에 중개 업계에서는 전세보증보험 가입 유형 대다수가 전세보다는 보증부월세로 불리는 반전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전세보증보험이 필수라는 임차인들의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 가입 기준에 맞추기 위해 임대인들이 낮춘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했다는 얘기다. 송파구의 또 다른 공인중개사는 “요즘은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불가능한 집은 보여주지도 말라는 게 임차인들의 요구”라며 “조율이 가능할 때에는 임대인에게 보증금을 낮춰 일부를 월세로 전환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사정상 조율이 불가능한 임대인들도 많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런 경우 중개사 입장에서는 오래 거래했고, 등기부등본이 깨끗한 매물이어서 위험이 낮다고 판단되더라도 임차인에게 선뜻 권하기가 어렵다”고 덧붙였다. 중개 업계 한 관계자는 “전세보증보험 가입 기준을 맞추는 과정에서 반전세가 확산되는 건 당연한 현상이다. 전세보증보험에서 제시하는 가격을 그냥 맞추려는 임대인들은 없다”며 “이 과정에서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세사기를 방지하려는 의도는 알겠으나, 그 과정에서 역전세가 발생하게 된다”며 “자금 여력이 없어 반전세로도 세입자를 들일 수 없는 집주인의 경우 임차인이 대위변제를 받거나 경매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일곱째 낳아 1억 받은 고딩엄빠…후원금 전부 여기에 썼다 성폭행 저지른 정명석에 무릎꿇은 경찰…현직 경감 ‘주수호’였다 “김정은, 매년 처녀들 골라 성행위” 北기쁨조 실체 폭로한 탈북女 “으악 하지 마” 부산 유튜버 살인, 전부 생중계 됐다

서민주거 빌라 공급 ‘뚝’…전세대란 나비효과로

서울 비아파트 전세 거래 비중 36%, 전세사기 후폭풍 아파트 전세난 진행 중, 서울 51주 연속 가격 상승 비아파트 착공 31% 감소, 전세시장 혼란 부채질 전세사기 등 보증금 미반환 사태로 촉발된 비아파트 전세시장 및 공급 위축이 향후 주택시장 전반의 전세대란을 야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아파트 시장의 경우 2~3년 후 입주물량 감소로 전세난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이는데, 빌라와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공급마저 쪼그라들면서 수요를 분산시키지 못해 전세가격이 고공행진 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0.0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지난해 5월 넷째 주 이후 51주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세는 한동안 꺾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2만9732건으로 매물이 가장 많았던 지난해 1월 12일(5만5882건) 대비 46.8% 감소했다. 반면 비아파트 임대차 시장은 전세에서 월세 위주로 재편됐다.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서울의 빌라와 단독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6만6170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전세 거래량은 2만40002건인 36.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사기 이후 임차인들이 월세로 계약을 전환하거나 아파트 전세로 눈을 돌리면서 전세 거래 비중이 축소된 것으로 파악된다. 문제는 비아파트 전세시장이 망가지면서 공급여건도 크게 악화됐다는 점이다. 실거주보다 투자 목적으로 분양을 받는 빌라와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주택 특성상 임차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미분양이 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월세보다는 전세 보증금으로 주택 구입 부담을 낮출 수 있는 만큼, 전세 수요가 분양 흥행 여부를 좌우할 수 있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의 주택통계를 살펴보면 올해 1~3월 비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8535가구로, 1년 전 1만3784가구 대비 38.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착공 물량은 1만1025가구에서 7566가구로 31.4% 줄어들었다. 이는 아파트보다도 크게 악화된 수치다. 아파트의 올해 1~3월 인허가 물량은 6만6023가구, 착공 물량은 3만7793가구로 1년 전 대비 각각 20.3%, 18.1% 감소했다. 임대차 시장이 실수요 위주로 돌아가는 점을 고려하면 몇 년 뒤 신축 아파트 부족으로 전세매물이 감소할 때, 수요를 분산시킬 비아파트 주택도 공급 부족을 겪으며 전세가격 상승을 부채질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IAU 교수는 “전세시장은 심각하다. 아파트가 적게 지어지면 빌라나 오피스텔로 수요가 옮겨가게 되는데, 비아파트 마저도 공급되지 않는 악순환이 펼쳐지고 있다”며 “투자 목적의 비아파트 주택은 초기에 전세 세입자를 구해야 주택 매입 자금 부담이 덜한데, 월세나 반전세 위주로 전환되다 보니 분양률이 떨어지게 되고 결국 빌라를 짓지 않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도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에서도 전세 매물이 0개인 곳이 나올 정도로 아파트 전세난이 심화되고 있다”며 “비아파트 전세 시장부터 회복이 돼야 단계적으로 빌라나 오피스텔 착공도 확대되고 향후 아파트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차기 대권’ 野 이재명 37.3% 조국 7.7%…與 한동훈 26.0% 오세훈 5.3% [데일리안 여론조사] 성폭행 저지른 정명석에 무릎꿇은 경찰…현직 경감 ‘주수호’였다 일곱째 낳아 1억 받은 고딩엄빠…후원금 전부 여기에 썼다 “김정은, 매년 처녀들 골라 성행위” 北기쁨조 실체 폭로한 탈북女 윤 대통령, 김건희 특검 선 긋고 채상병 특검 ‘조건부 수용’ [2주년 기자회견]

아파트 전세 매물 22% 감소…신규 분양에 눈 돌리나

아파트 전세 품귀 현상으로 전국 전세 가격이 상승세다. 9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 자료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 매물은 지난 7일 기준 총 12만1986건으로 1년 전(15만7764건)과 비교해 22.7% 줄었다. 전세 매물 감소율을 지역별로 보면 전북이 50.9%(3098건→1522건)로 감소율이 가장 높았다. 2위는 울산 47.5%(3645건→1914건), 3위는 인천 39.1%(1만 1354건→6923건)로 뒤를 이었다. 아파트 전세 매물은 대폭 감소하는 가운데 전세 수요는 늘고 있어 전세가격은 상승세를 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아파트 전세 가격 지수는 지난 3월 88.9로 한 달 전보다 0.09p 상승했고 8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의 경우 10개월 연속 아파트 전세가격지수가 상승하고 있다. 전세 매물 감소율 1위인 전북은 7개월, 2위인 울산은 5개월, 3위인 인천은 8개월 연속 아파트 전세가격지수가 올랐다. 비아파트 중심으로 번진 전세사기 우려로 아파트에 수요가 집중되는 한편, 임대차2법 시행으로 임차인들이 계약 갱신권을 사용하면서 전세 매물이 줄면서 시세가 오르는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임대차2법 시행 4년을 앞둔 최근 임대인들이 앞으로 4년 동안 가격 인상률이 5%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전셋값을 최대한 올리려는 움직임도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크다. 전세 매물 품귀 현상과 전세가격 상승여파로 신규 분양 단지 시장으로 고개를 돌리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 인천 계양구 효성동 롯데건설이 분양한 ‘계양 롯데캐슬 파크시티’는 오는 21일부터 진행되는 정당계약을 앞두고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 견본주택 오픈 당시 주말 동안 2만여명이 방문해 많은 관심을 끌기도 했다. 분양 관계자는 “인천 전세사기 문제가 심각해 내 집 마련을 하려는 수요자들의 심리가 여전히 크게 작용하고 있다”며 “청약 규제도 완화돼 당첨 문턱이 낮아져 젊은 사람들 중심으로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울산 남구 신정동에서는 롯데건설·SK에코플랜트가 14일 ‘라엘에스’ 1순위 청약을 받는다. 전북에서는 이달 포스코건설이 ‘전주 더샵 에코시티4차’를 분양할 예정이다. 분양 업계 전문가는 “아파트 전세 수요는 여전한 반면 전세 매물은 없고 전세가격은 상승하고 있어 한동안 전세시장 불안요인이 지속될 것”이라며 “아파트 전세가격이 계속 오르면 매매가격도 같이 오르는 현상이 나타나 신규 분양 단지 시장으로 수요자들이 더 몰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차기 대권’ 野 이재명 37.3% 조국 7.7%…與 한동훈 26.0% 오세훈 5.3% [데일리안 여론조사] SK하이닉스, 온디바이스 AI용 ‘ZUFS 4.0’ 개발…”3분기 양산” ‘정당 지지율’ 국민의힘 36.9% 민주당 31.3%…국민 70% “여야 협치 못할 것” [데일리안 여론조사] 국민 과반 “채상병 특검법, 野 단독처리도 적절…尹 거부권 안돼” [데일리안 여론조사] 국민 과반 “1인당 25만원 지원금 효과 클 것” [데일리안 여론조사]

1000가구 대단지도 ‘전세 0건’… 씨마른 매물에 전셋값 들썩

아시아투데이 정아름 기자 =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 전세 매물 품귀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1000가구 넘는 대단지에서도 ‘0건’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반면 전세 수요는 늘고 있다. 이렇다 보니 전셋값은 상승세를 타고 있다. 30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물건은 2만9821건으로 3만건을 밑돌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4만724건에서 1만903건(27%)이나 줄었다. 서울 아파트 전세 물건은 지난해 4월 4만건 대를 유지하다 지난해 5월부터 3만건대로 쪼그라들었다. 이후 점차 전세 물건이 소진되면서 2만9000건대까지 내려왔다. 대단지에서도 전세 매물이 제로(0)인 곳이 적지 않다. 대표적인 단지로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6단지(1059가구)’, 서대문구 남가좌동 ‘DMC래미안클라시스(1114가구)’, 구로구 구로동 ‘삼성래미안(1244가구)’ 등이 있다. 남가좌동 한 공인중개사는 “전세 매물이 아예 없는 곳이 수두룩하고, 한 두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