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 대출에서도 밀려나는 서민들…불법사금융 더욱 기승

자영업자·저신용자 등이 제도권 금융에서 자금을 융통하지 못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린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은 물론 등록 대부업체들마저 대출 거절 비율이 높아지면서 초고금리에도 불구하고 불법 사금융이 기승을 부리는 것이다. 18일 서민금융연구원 분석에 따 자영업자·저신용자 등이 제도권 금융에서 자금을 융통하지 못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린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은 물론 등록 대부업체들마저 대출 거절 비율이 높아지면서 초고금리에도 불구하고 불법 사금융이 기승을 부리는 것이다. 18일 서민금융연구원 분석에 따

급전 찾는 서민 급증…저축은행, 1Q 중금리 대출 6000억↑

국내 저축은행이 건전성 관리를 위해 중금리대출 빗장을 걸었지만 관련 대출이 석 달 만에 6000억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신용점수가 낮은 차주들은 여전히 중금리대출을 받기 어려워 취약 계층은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14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국내 79곳 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민간 중금리대출(사잇돌 대출 제외) 잔액은 1조7969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50.2%(6002억원) 증가했다.민간 중금리대출은 금융사가 신용 하위 50%인 차주에게 일정 수준 이하의 금리로 공급하는 상품이다…

금융위 “우수대부업자 선정 취소돼도 기회준다”

아시아투데이 남미경 기자 = 금융당국은 우수대부업자 유지요건에 미달한 업체에게 선정 취소를 유예받을 수 있도록 했다. 금융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대부업등 감독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우수대부업자 제도는 저신용자 대출요건(신용평점 하위 10% 등)을 충족하는 등록 대부업자를 대상으로 은행 차입을 허용하는 등 서민·취약계층 금융 공급을 지원하는 제도다. 지난 2021년 도입돼 운영되고 있고, 현재 19개사가 우수대부업자로 선정된 상태다. 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70% 이상이거나 저신용자 개인신용대출 잔액이 100억원 이상일 경우 우수대부업자로 선정될 수 있다. 금융당국은 매 반기별로 선정·유지요건 충족 여부를 심사하고 있다. 선정 이후엔 저신용자 신용대출 잔액이 △전체 대출잔액 60% 이상이거나 △직전 반기 잔액의 80%(선정시 90%) 이상일 경우 우수대부업자를 유지할 수 있다. 금융위는 유지요건에 미달한 업체에 대해 저신용자 신용공급 확대 이행계획 또는..

금융위, ‘우수대부업자’ 선정 취소돼도 기회준다

금융당국이 우수대부업자 유지요건에 미달한 업체에게 기회를 부여한다. 금융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대부업등 감독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우수대부업자 제도는 저신용자 대출요건(신용평점 하위 10% 등)을 충족하는 등록 대부업자를 대상으로 은행 차입 금융당국이 우수대부업자 유지요건에 미달한 업체에게 기회를 부여한다. 금융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대부업등 감독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우수대부업자 제도는 저신용자 대출요건(신용평점 하위 10% 등)을 충족하는 등록 대부업자를 대상으로 은행 차입

금융위, 우수대부업자 유지 취소·요건 문턱 낮춘다

은행에서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우수 대부업자’ 기준이 완화된다.금융위원회는 12일 우수대부업자 유지 및 취소요건을 재정비한 ‘대부업등 감독규정’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우수대부업자는 저신용자 대출요건(신용평점 하위 10%) 등을 충족하는 금융위 등록 대부업자 대상으로 은행 차입 등을 허용해 서민·취약계층 금융 공급을 지원하는 제도다. 2021년 7월에 도입돼 운영중이다. 올해 5월말 기준 19개사가 우수대부업자로 선정돼 있으며, 금융당국은 매 반기별 선정·유지요건 충족여부를 심사하고 있다.최근 저신용층 신용공급을…

[이슈+] 리볼빙으로 빚 막은 차주 ‘폭증’···고금리에 저신용자도 ‘울상’

투데이코리아=윤주혜 기자 | 지난해 금리 인상과 규제 강화로 카드론 및 은행권 대출 문턱이 높아진 가운데, 급전 마련이 어려워진 서민들의 리볼빙 수요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나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9일 <투데이코리아>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해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