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마홀딩스, 자사주 6.73% 소각···”뷰티업계 최초”

아시아투데이 서병주 기자 = 콜마그룹의 지주사인 콜마홀딩스가 화장품업계 최초로 자사주 소각을 실시하며 기업가치 제고에 나선다. 26일 콜마홀딩스에 따르면 회사는 자사주 6.73%(247만3261주) 소각 계획을 공시했다. 이로써 회사의 누적 자사주 소각 비율은 9.93%가 됐다. 이와 함께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도 발표했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은 정부가 국내 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해 시행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콜마홀딩스는 프로그램을 위해 주요 재무 및 비재무 지표를 분석하고 중장기 목표를 수립했다. 앞서 회사는 지난해 7월 발표한 주주환원정책에 따라 비경상이익을 제외한 당기순이익 50% 이상 주주환원을 예정한 바 있다. 여기에 비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일회성이익(비경상이익)에 대해서도 일정 비율로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분기배당 등으로 활용한다. 기업지배구조 핵심 지표 준수율도 현재 66.7%에서 86.7%까지 끌어 올려 주주가치를 제고한다는 목표다. 이..

콜마홀딩스, 자사주 6.73% 소각…기업가치 제고

콜마그룹 지주사 콜마홀딩스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자사주 247만3000여주를 소각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전체 주식의 6.73%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1주당 가액은 500원이며 소각 예정 금액은 200여억원이다. 이날 기준 누적 자사주 콜마그룹 지주사 콜마홀딩스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자사주 247만3000여주를 소각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전체 주식의 6.73%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1주당 가액은 500원이며 소각 예정 금액은 200여억원이다. 이날 기준 누적 자사주

‘오디션’ 티쓰리,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56억 규모 자사주 소각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의 시작으로 티쓰리가 56억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한다. 티쓰리는 보통주 370만주(56.2억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소각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소각 예정일은 오는 24일이며, 이번 결정의 목적은 주주가치 제고다. 이번 자사주 소각은 이사회 결의에 따라 진행하는 것으로, 자본금의 변동은 없다. 소각 규모는 총 보유 자사주 664만 주 중 56%에 해당하는 370만 주이며 이는 전체 발행 주식수의 5.5%에 해당하는 규모다.회사 관계자는 “상장 이후 주주분들께 꾸준히 약속 드린 대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회사의

매력 없다고? KT, 자사주 사들여 소각하고 분기배당까지 ‘꿀’

아시아투데이 정문경 기자 = 한계가 명확한 국내시장에서 일률적으로 이익을 내는, 매력 없는 투자시장으로 분류되던 통신사들이 고배당을 중심으로 한 적극적 주주환원책을 펴고 있다. 그 중 KT가 가장 눈에 띄는 이유는 올해 첫 분기 배당을 도입하고 자사주를 매입, 소각까지 나서는 전향적 의지가 반영됐다. 특히 하반기에도 KT가 추가 주주환원책을 내놓을 거란 전망이 나오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는다. 11일 ICT업계에 따르면 김영섭 KT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회사 최초로 분기 배당 정책을 도입한 이래 이동통신3사 중에서 주주가치 제고에 가장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KT는 지난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을 개정해 올해부터 분기배당을 도입했고 1분기 주당 500원의 현금배당을 확정했다. KT의 2022~2023년 연간 배당금은 주당 1960원이었는데, KT의 올해 배당은 이와 같거나 늘어날 전망이다. 앞서 KT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중기 주주환원 정책에 따..

자사주 소각·분기배당까지… KT, 주주환원 강한 의지

한계가 명확한 국내시장에서 일률적으로 이익을 내는, 매력 없는 투자시장으로 분류되던 통신사들이 고배당을 중심으로 한 적극적 주주환원책을 펴고 있다. 그중 KT가 가장 눈에 띄는 이유는 올해 첫 분기 배당을 도입하고 자사주를 매입, 소각까지 나서는 전향적 의지가 반영됐다. 특히 하반기에도 KT가 추가 주주환원책을 내놓을 거란 전망이 나오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는다. 11일 ICT업계에 따르면 김영섭 KT 대표이사 사장은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회사 최초로 분기 배당 정책을 도입한 이래 이동통신3사 중에서 주주가치 제고에 가장 강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KT는 지난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을 개정해 올해부터 분기배당을 도입했고 1분기 주당 500원의 현금배당을 확정했다. KT의 2022~2023년 연간 배당금은 주당 1960원이었는데, KT의 올해 배당은 이와 같거나 늘어날 전망이다. 앞서 KT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중기 주주환원 정책에 따라 2025년까지 최소 배당금 1..

KT, 자사주 추가 소각…1789억원 규모

“주주가치 제고 차원” 오는 24일 소각 예정 KT는 보유 중인 자기주식 중 514만3300주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고 9일 밝혔다. 총 발행 주식 수의 약 2%이며 총 1789억원 규모다. 소각 예정일은 오는 24일이다. KT는 “이번 자기주식 소각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결정”이라며 “앞으로도 KT는 주주가치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KT는 지난해 10월 중기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회계연도 기준 2023년부터 3년간 별도 재무제표 기준 조정 당기순이익의 50%를 재원으로 하는 현금배당과 자사주 소각 계획을 밝혔다. 실제로 이번 2023년도 배당금을 1960억원으로 확정했으며, 올해 271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모두 완료했다. 또한 KT는 올해부터 창사 이래 첫 분기배당을 시행하며 지난달 30일 1주당 500원의 1분기 현금배당을 발표했다. 이번 1분기 배당부터 주주 편의성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를 위해 온라인 배당 조회 서비스를 도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차기 대권’ 野 이재명 37.3% 조국 7.7%…與 한동훈 26.0% 오세훈 5.3% [데일리안 여론조사] 성폭행 저지른 정명석에 무릎꿇은 경찰…현직 경감 ‘주수호’였다 일곱째 낳아 1억 받은 고딩엄빠…후원금 전부 여기에 썼다 “김정은, 매년 처녀들 골라 성행위” 北기쁨조 실체 폭로한 탈북女 윤 대통령, 김건희 특검 선 긋고 채상병 특검 ‘조건부 수용’ [2주년 기자회견]

인색한 주주환원 개선돼야 진정한 밸류업도 가능 [기자수첩-금융증권]

신흥국보다 낮은 코스피 PBR…배당·자사주 소각 소극적 단기수익 추구에 경쟁력 하락…자발적 가치제고 힘써야 정부가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주주환원 정책 강화를 추진하는 가운데 기업들의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 의지는 여전히 부족한 현실이다. 이같은 관행이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 증시 저평가)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기업들의 근본적인 인식 전환은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최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결산 재무제표를 반영한 코스피200 기업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1.0배로 집계됐다. 23개 선진국 평균 PBR(3.2배)에 크게 못 미칠뿐만 아니라 24개 신흥국 평균 PBR(1.7배)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그만큼 기업의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는 뜻이다. 국내 증시의 만성적인 저평가 배경에는 인색한 주주환원도 한 몫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국내 배당 성향은 20.1%로 미국(40.5%) 영국(45.7%) 독일(40.8%) 프랑스(39.3%) 일본(36.5%) 등 주요 선진국보다 낮고 대만(52.5%)·중국(35.0%)보다도 떨어진다. 보통 배당에 대한 기대가 높으면 주가가 크게 오르지 않아도 투자자들은 배당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신뢰감을 얻는다. 즉, 안정적으로 장기투자에 나설 확률이 커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업들의 ‘짠물 배당’으로 수익을 내기 힘든 투자자들이 단기 시세차익에 몰두하면서 단기 투자 위주로 흘러간다는 것이 큰 문제다. 이는 주주환원과 장기 투자를 선호하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를 홀대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배당과 함께 대표적 주주환원책인 자사주 매입·소각에도 기업들은 소극적이다. 최근 주주제안이 배당보다는 자사주 매입·소각 쪽으로 이뤄지고 있고 정부도 이러한 요청을 강화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는 것은 분명 아니다. 한국ESG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3월 정기 주주총회 이전까지 자사주 소각을 한 기업은 총 66개사로 전년(27곳)보다는 늘어났지만 이는 전체 기업 중 9.8%에 불과할 정도로 미미한 규모다. 지배구조 개선과 높은 상속세율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환경에서 자사주 매입·소각에 나설 수 있는 기업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증시에선 대주주들이 승계를 위해 낮은 주가를 선호,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 등 적극적 주주환원을 꺼려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자사주가 지배주주의 경영권 방어 목적으로 활용되는 것도 고질적인 문제다. 자사주를 매입하더라도 소각에는 신중한 기업들이 많은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밸류업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는 상장사들의 자율성 존중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기업이 각자 여력에 맞춰 평가받을 수 있도록 선택권을 부여하겠다는 의도지만 정부가 권고하는 것만으로 기업들의 관행이 바뀌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결국 자발적인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이 밸류업 성공의 관건으로 떠오른 만큼 이를 이끌어내려면 상속세를 현실적으로 낮추면서 지배주주의 경영권 남용은 막는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 또 지배구조를 견제할 수 있는 소액주주의 권리 보호와 이사회 기능 강화, 자사주의 취득·보유·처분 등 시장에 투명한 정보가 공개되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 그래야만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아닌, 코리아 프리미엄으로의 진정한 밸류업이 가능하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성형한 적 없고 이혼은 했다” 60세 미인대회 우승女 솔직 발언 한동훈 당권 도전 왜 안 되는데? 대신경제연구소, ‘밸류업 프로그램 대응 보고서’ 발간 키움證 “밸류업, 안정적 지배구조 가진 기업부터 참여 전망” 다시 비둘기 된 美 연준에 밸류업까지…증시 훈풍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