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심층신경망 AI 연구 속도…세계적 AI 학회서 새 모델 발표

아시아투데이 정문경 기자 = LG가 생명체의 두뇌가 작동하는 신경 원리를 모사해 만들어진 인공지능(AI) 모델 ‘심층신경망(DDNs)’에 대한 연구도 열중하고 있다. 특히 LG는 거대 언어 모델(LLM)의 발전으로 고연산을 필요로 하는 환경에서 제한적인 자원에도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는 경량화된 심층신경망 모델 ‘LeSS’를 새로 고안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LG AI 연구원은 이달 7~11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서 열린 세계적 AI 학술대회 ‘ICLR 2024’에서 상용화 단계를 위한 심층신경망 기반의 경량화 모델 관련 연구 내용을 발표했다. LG AI 연구원이 발표한 연구 내용은 보통의 신경망 구조보다 훨씬 깊고 복잡한 수직 구조로 이뤄진 탓에 많은 연산 자원과 메모리가 필요한 심층 신경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모델의 크기와 연산 복잡성을 줄이면서도 성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모델 압축에 대한 내용이다. 한정된 자원에서 통합적인 연산을 하는 새로운 신층신경망 설계..

카카오, 카카오브레인과 조직 통합…“AI 서비스 개발 속도”

카카오브레인 영업 양수도 안건 이사회 의결 초거대 AI 기반 언어 모델 및 이미지 생성 모델 이관 카카오가 인공지능(AI) 연구개발 자회사 카카오브레인과 시너지 극대화를 위해 생성형 AI 관련 조직을 통합한다. 카카오는 2일 이사회를 열고 카카오브레인의 초거대 AI 기반 언어 모델과 이미지 생성 모델 등을 영업 양수도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영업 양수도 및 조직 통합 절차는 내달 중 마무리 예정이다. 카카오는 빠르게 변화하는 AI 시대에 맞춰 AI 기술의 일상화·대중화를 추진해 갈 계획이다. 초거대 AI 언어모델 ‘코지피티(Ko-GPT)’를 비롯해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모델 ‘칼로(Karlo)’, 다양한 경량화 언어모델 등을 보유한 카카오브레인의 기술 역량과 카카오가 보유한 서비스 강점을 결합해 속도감 있게 AI 서비스를 내놓는 것이 목표다. 카카오에 합류할 카카오브레인 임직원은 일상 속 AI 서비스에 최적화된 경량화 언어모델 개발은 물론, 그간 깊이 연구개발해 온 AI 모델의 고도화에도 계속 힘쓸 예정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는 “AI는 이제 기술 검증을 지나, 실질적 활용이 중요한 시기를 맞고 있다”며 “이용자 경험에 대한 카카오의 이해 및 해석 노하우와 언어모델에 대한 카카오브레인의 역량을 통합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의 일상에 스며 드는 가장 카카오다운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女정치인, 24세 스님과 불륜…남편이 촬영·유포한 현장 상황 “없어서 못 팔아” 女겨드랑이 주먹밥, 돈 10배 주고 사먹는다 “난 레즈비언, 유부남과 성관계가 웬 말” 모텔 CCTV 경악 ‘부실’ 자료 인용해 대통령 몰아세운 이재명 [기자수첩-정치] 박지원, 국회의장 노리고 국회의장에 “개XX들” 욕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