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실업 경험, 가계소비에 부정적 영향”

아시아투데이 정금민 기자 = 1997년 외환위기 등을 거치며 둔화된 가계 소비가 이전의 증가세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과거 외환위기와 같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영준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연구위원은 30일 ‘실업경험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장기효과 분석’을 주제로 한 BOK이슈노트에서 “과거 실업경험은 가계소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음(-)의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최 위원에 따르면 가계 소비 증가율은 △1970년~1998년 연 평균 8% △ 2008년(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연 평균 4% △글로벌 금융위기부터 최근까지 연 평균 2% 등으로 점차 축소됐다. 그는 “외환위기 이후의 충격이 실업 경험을 통해 장기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계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며 “이러한 상흔 소비는 미래소득을 감소시키는 경로보다 주로 저축을 늘리는 자산축적 경로를 통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