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떨어질 때…’이 테마’ 가상자산 올랐다

비트코인 약세장이 지속되는 동안 밈코인 테마는 강세를 보였다.25일 듄애널리틱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3개월 동안 가상자산 테마 중 밈코인만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밈코인 테마 가상자산들은 3개월 동안 18.53% 상승했다. 하락세가 큰 테마는 웹3 게임(-65.70%), 탈중앙화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DePIN·-55.71%), 탈중앙화 AI(-55.04%) 등이었다.밈코인 종목 중 시장에 잘 알려지지 않은 신규 가상자산들이 주로 큰 상승폭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NPC(568.40%) ▲APU(269.16%) ▲BOB…

서울 아파트값 13주 연속 올라…전셋값도 57주째↑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기자 = 서울 아파트값이 6주 연속 상승폭을 키우며 13주째 오르고 있다. 전셋값 역시 상승세가 뚜렷해졌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셋째 주(17일 기준) 아파트가격 동향 발표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보다 0.15% 올랐다. 6주 연속 오름폭이 커지면서 13주째 상승 중이다. 강북(한강 이북지역)에선 성동(0.35%)·용산(0.24%)·광진(0.23%)·마포(0.23%)·은평구(0.22%) 등지에서 올랐다. 강남에서도 서초(0.31%)·송파(0.23%)·강남(0.16%)·영등포(0.15%)·강서구(0.10%) 등이 강세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지역별 선호지역·단지 중심으로 간헐적 상승거래가 지속되면서 대체 수요로 인식되는 단지들의 매도 희망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며 “매도·매수 희망가격간 격차로 거래는 활발한 편은 아니나 매수문의 꾸준하게 유지되면서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오르며 보합에서..

5월 전국 집값 –0.02% 하락, 서울은 2개월 연속 상승세

올해 들어 전국 집값 낙폭이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서울은 2개월 연속 집값이 오르고 있고, 인천도 지난달 하락을 멈춘 뒤 상승 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등) 매매가격은 0.02% 하락하며 한 달 전(-0.05%)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다.수도권(-0.01%→0.02%)은 상승 전환했고, 서울(0.09%→0.14%)은 2개월째 상승을 유지했으며, 지방은 (-0.09%→-0.06%) 낙폭이 줄었다.부동산원 관계자는 “매매는 지…

지방은 하락폭 커지는데…서울 아파트값 12주째 상승세

서울 아파트값이 12주 연속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지방의 아파트값은 하락폭이 커지는 모습이다.13일 한국부동산원이 6월 2주(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0%(보합), 전세가격은 0.03% 올랐다.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일주일 전(0.01%) 대비 떨어지며 보합 전환됐다. 수도권(0.05%→0.05%)은 상승폭 유지, 서울(0.09%→0.10%)은 상승폭 확대, 지방(-0.02%→-0.05%)은 하락폭 확대됐다.수도권을 살펴보면 서울은 0.10% 상승, 인천은 0.06%, …

서울 아파트값 12주째 올라…전국은 4주 만에 상승→보합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기자 = 서울 아파트값이 5주 연속 상승폭을 확대하며 12주째 오른 반면,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 3주간 이어 온 오름세를 끝내고 보합으로 돌아섰다. 1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둘째 주(10일 기준) 아파트가격 동향 발표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보다 0.10% 올랐다. 5주 연속 상승폭 확대에 힘입어 12주째 오르고 있다. 강북(한강 이북지역)에선 성동(0.26%)·광진(0.15%)·동대문(0.14%)·서대문(0.14%)·마포구(0.14%) 등지에서 상승했다. 강남에선 서초(0.21%)·강남(0.14%)·송파구(0.11%) 등 강남 3구가 강세를 보였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지속적인 전셋값 상승세 때문에 매매가격 하락 우려가 점차 줄고 선호지역·단지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꾸준히 유지되면서 상승세가 뚜렷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 3주간 상승세를 유지하다 이 주 들어 보합으로 전환하며 온도차를 보였다. 인천은..

[시황] 코스피, ‘외인·기관 사자’ 이틀 연속 상승… 2728.17 마감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 매수세를 업고 연이틀 상승 마감했다.12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2.85포인트(0.84%) 오른 2728.17로 마감했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33포인트(0.16%) 오른 2709.65로 출발해 장중 상승폭을 키웠다.투자주체별로 개인은 2434억원 순매도 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344억원, 103억원 순매수 했다.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 삼성전자(1.73%)와 SK하이닉스(1.18%), 삼성바이오로직스(0.27%), 기아(0.41%), KB금융(0.89%) 등은 상승했다. 반면 …

수도권 아파트값 온기 확산…경기 27주 만에 상승

서울 아파트값이 11주 연속 상승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경기 아파트값도 하락을 멈추고 27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서울에서 시작된 집값 오름세가 수도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는 모습이다.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6월 1주(3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0.01% 오르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유지됐다.지역별로 수도권(0.03%→0.05%) 매매가격 상승폭은 확대됐으나, 지방(-0.01%→-0.02%)은 하락폭이 확대됐다.서울은 0.09% 오르며 지난주(0.06%) 대비 상승폭이 확대된 가…

[시황] 코스피,삼전發 호재에 2680대 안착

코스피가 삼성전자발 호재에 상승 마감했다.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테스트 실패를 전면 부인하면서 삼성전자가 장중 3% 넘게 오르는 등 상승세를 기록했다.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7.4포인트(1.03%) 오른 2689.50에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19.01포인트(0.71%) 오른 2781.11로 출발한 뒤 상승폭을 키웠다.투자주체별로 보면 외국인이 홀로 5899억원을순매수하며 코스피의 상승을 이끌었다.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3296억원…

[시황] 코스피, 나흘만에 반등…외국인 매도세에 상승폭 제한

코스피와 코스닥이 나란히 상승 마감했다. 사흘간 하락하던 코스피는 반등에 성공했으나 외국인의 매물이 출회된 탓에 오름 폭이 크지 않았다.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08포인트(0.04%) 오른 2636.52에 거래를 마쳤다.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24포인트(0.73%) 오른 2654.68로 출발했으나 장중 상승 폭을 줄였다.투자 주체별로 보면 외국인이 8644억원 순매도해 지수 하락을 유도했으나 기관과 개인이 각각 6840억원, 1896억원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다만 코스피 시가총액…

전국 아파트값 2주 연속 상승…서울도 오름폭 확대

아시아투데이 김다빈 기자 = 전국 아파트값이 2주 연속 올랐다. 서울도 10주 연속 오름세가 이어진 가운데 그 폭을 더욱 키웠다. 3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5월 넷째 주(27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0.01% 올랐다. 지난해 11월 넷째 주 이후 26주 만에 상승 전환한 데 이어 오름세를 이어갔다. 이번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0.03% 올랐다. 특히 서울(0.05%→0.06%)은 상승폭을 키우며 10주째 상승세를 타고 있다. 강북(한강 이북지역)에선 성동구(0.19%)가 행당·옥수동 역세권 및 대단지 위주로 올랐고, 종로구(0.13%)는 창신·무악동 주요단지 위주, 중구(0.09%)는 신당·중림동 위주로 상승했다. 노원(0.00%)·도봉구(0.00%)에서 단지별 혼조세가 유지되며 보합을 기록했다. 강남(한강 이남지역)에서는 서초구(0.11%)가 잠원·서초동 대단지 위주로, 동작구(0.09%)는 흑석·상도동 중소형 규모 위주, 강남구(0.09%)는 압구정·..

지방도 하락 멈췄다…전국 아파트값, 반년 만에 상승 전환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들썩이면서 전국 아파트값도 26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5월 3주(2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1% 상승, 전세가격은 0.0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2%) 대비 상승 전환됐다. 약 반년 만이다. 수도권(0.00%→0.02%)은 상승 전환, 서울(0.03%→0.05%)은 상승폭 확대, 지방(-0.04%→0.00%)은 보합 전환됐다. 서울은 일주일 전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9주째 상승세다. 부동산원은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관망세가 지속 중인 가운데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 및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가 발생하고, 매물가격이 오르는 등 지역·단지별 혼조세를 보이며 전반적인 상승세를 이었다”고 분석했다. 하락세를 유지하던 ‘노도강’ 지역도 상승 전환했다. 노원구와 도봉구는 보합(0.00%), 강북구는 0.01% 올랐다. 성동구(0.19%), 서대문구(0.09%), 마포구(0.09%)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강남4구도 모두 오름세를 유지했다. 송파구(0.08%)가 상승폭을 키웠고, 서초구와 강동구가 0.05%, 강남구는 0.04% 올랐다. 인천은 0.08% 올랐고 경기는 -0.01%로 일주일 전 대비 상승폭이 줄었다. 지방은 5대 광역시가 0.03% 하락, 세종이 0.26% 하락, 8개도가 0.03% 오르며 전체적으로 보합(0.00%)을 나타냈다. 전세시장은 상승흐름을 지속했다. 특히 서울은 53주 연속 오름세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3%) 대비 상승폭 확대됐다. 수도권(0.08%→0.12%) 및 서울(0.07%→0.10%)은 상승폭 확대, 지방(-0.02%→0.02%)은 상승 전환됐다. 서울은 정주여건이 양호한 신축·대단지 등 선호도 높은 단지 위주로 갱신계약이 이뤄지고, 매물 부족 현상이 이어지며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구축의 경우도 저가매물이 소진되며 전체적으로 상승폭을 키웠다. 강북권에선 중구(0.19%), 서대문구(0.18%), 성북구(0.17%), 노원구(0.15%) 등 위주로 올랐다. 강남권에선 동작구(0.18%), 서초구(0.17%), 구로구(0.14%), 양천구(0.10%) 등이 상승했다. 인천(0.22%)은 서울 접근성이 우수한 직주근접, 신축 대단지 위주로 매물 부족과 함께 상승세가 이어지며 상승폭이 커졌다. 경기는 0.11% 올랐다. 지방은 5대 광역시가 0.01% 상승, 세종이 0.04% 하락, 8개도가 0.03% 오르며 전체적으로 0.02% 상승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누나, 나야…” 매장서 옷 벗기고 성관계 요구, 거부하자 주먹 ‘퍽퍽퍽’ “콘서트 해야 하니, 구속심사 미뤄달라”…김호중 요청, 법원서 기각 ‘개통령’ 강형욱의 추락…종횡무진 전문가 활약의 명암 [D:이슈] 국민 45.1% “김정숙 인도 방문은 관광”…43.6% “외교” [데일리안 여론조사] 말 바꾼 김혜경 비서 “식사비 결제, 논의 안 하고 스스로 판단”

전국 아파트값 반년만에 상승…서울도 9주째 올라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기자 = 전국 아파트값이 반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서울은 오름폭을 키우며 9주 연속 상승했다. 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5월 셋째 주(20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0.01% 올랐다. 지난해 11월 4째 주(20일 기준) 이후 26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0.02% 오르며 4월 둘째 주(0.01%) 이후 한 달 만에 재상승했다. 특히 서울(0.03%→0.05%)은 오름폭을 키우며 9주째 상승세를 탔다. 강북(한강 이북지역)에선 성동(0.19%)·서대문(0.09%)·마포구(0.09%) 등지에서 올랐다. 강남(한강 이남지역)에선 송파(0.08%)·영등포(0.07%)·동작(0.07%)·양천구(0.06%) 위주로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아파트 매매시장에서 관망세가 지속 중인 상황이지만,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 및 선호 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인천(0.02%→0…

밸류업에 엇갈린 주가… KB ‘신고가’ vs 신한 ‘부진’

1조491억원과 1조3215억원. 올 1분기 KB금융과 신한금융의 당기순이익이다. 1분기 순익 기준으로 국내 금융지주 중 리딩뱅크 순위가 바뀌었지만, 주식 시장에서의 리딩뱅크 자리는 여전히 KB금융이다. 그동안 협력관계였던 글로벌 사모펀드들이 신한금융 지분을 대거 매도하면서 주가 상승을 제한했기 때문이다. KB금융의 경우, 홍콩 H지수 ELS(주가연계증권)손실 배상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연간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데다가 양호한 자본 비율로 주주환원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서 지주 출범 후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지난 2월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이후 대표적인 저PBR(주가순자산비율)로 꼽힌 금융주의 상승세에도 주가 상승폭은 희비가 갈렸다. 올 초 대비 50% 가까이 주가가 상승한 KB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가 있는가 하면, 신한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는 상승폭이 20% 안팎에 불과하다. 4대 금융지주 모두 올 1분기 배당성향 확대와 함께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

“주택 매매가격, 서울부터 기지개”…0.09% 상승 전환

지난달 서울 집값이 상승 전환한 가운데, 전국 집값도 낙폭을 좁혀가고 있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등) 매매가격은 0.05% 하락하며 한 달 전(-0.12%)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11%→-0.01%)과 지방(-0.13%→-0.09%)도 하락폭이 줄었으며 서울(0.00%→0.09%)은 상승 전환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대내·외 주택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전국적으로 매매거래는 한산한 관망세가 유지되고 전·월세 수요는 꾸준한 가운데, 매매는 서울 주요지역·선호단지 위주로 간헐적 상승거래가 발생했다”며 “GTX-A 개통 등 교통호재 영향을 받는 수도권 일부지역도 상승해 지난달 대비 하락폭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세부 지역별로 수도권에서 경기(-0.07%)는 안양 동안구·남양주시·고양 일산동구 위주로 하락했고 인천(-0.05%)은 부평·중·미추홀구에서 가격이 내렸으나 연수·서구 등이 상승하며 하락폭이 축소됐다. 특히 가격이 오른 서울은 강북 14개구에서 성동구(0.25%), 용산구(0.22%), 마포구(0.21%), 광진구(0.13%) 등이 상승했고 강남 11개구에서는 서초구(0.20%), 송파구(0.20%) 등 지역의 가격이 오른 가운데 금천구(-0.01%)는 하락, 구로구(0.00%)는 보합 전환됐다. 지방은 경북(0.09%)과 강원(0.04%) 등이 상승했으나 세종(-0.84%), 대구(-0.19%), 부산(-0.18%) 등을 중심으로 가격이 떨어졌다. 전국 주택종합 전세가격은 0.07% 오르며 한 달 전(0.05%)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수도권(0.19%→0.21%)은 상승폭 확대됐으나 서울(0.19%→0.18%)은 상승폭 축소, 지방(-0.08%→-0.06%)은 하락폭이 축소됐다. 수도권은 신축·역세권 등 선호단지 위주로 매물 부족 현상을 보이며 상승폭이 소폭 확대됐다. 서울(0.18%)은 성동·동대문·동작·양천구 위주로, 경기(0.20%)는 수원 영통·용인 처인·성남 분당구·광명시 등이, 인천(0.30%)은 연수·남동·부평·계양구 등 지역이 올랐다. 지방은 전북(0.11%), 울산(0.10%) 등은 상승했으나 세종(-0.88%), 대구(-0.23%), 경남(-0.19%) 등 지역이 하락했다. 전국 월간 주택종합 월세가격은 0.08% 오르며 한 달 전(0.09%)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16%→0.17%)은 상승폭이 확대됐지만 서울(0.15%→0.14%), 지방(0.03%→0.01%)은 상승폭이 줄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전·월세는 선호지역·단지 위주로 매물 부족 현상을 보이며 상승세가 지속됐다”면서도 “공급물량이 과다한 대구, 세종 위주로 하락하며 지방은 전세 하락 및 월세 보합수준을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누나, 나야…” 매장서 옷 벗기고 성관계 요구, 거부하자 주먹 ‘퍽퍽퍽’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나경원 “밥도 못 먹겠다” 하소연한 이유는… ‘음주 아니었다’며 ‘왜’ 그 선택을…김호중‧이광득의 ‘상식적’ 설명이 필요하다 [D:초점] 우원식, 추미애 꺾고 ‘대이변’…”민심 그대로 반영하는 국회의장 되겠다”

서울 아파트값 8주째↑…전셋값은 52주 연속 ‘활황’

서울 아파트값이 8주 연속 상승세를 이었다. 전셋값은 52주째 오름세를 유지했다. 16일 한국부동산원 ‘전국 주간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5월 둘째주(1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일주일 전 대비 0.03% 오르며 8주 연속 상승했다. 부동산원은 “금융환경 불확실성에 따른 거래 관망세가 유지되는 가운데 선호지역, 단지 위주로 저점인식에 따른 간헐적 거래가 발생했다”며 “매물 적체에도 불구하고 매도희망가격 수준이 유지되는 시장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 보면 ‘마용성’ 지역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성동구는 일주일 전 대비 0.09% 올랐고 용산구는 0.08%, 마포구는 0.06% 상승했다. 강남3구도 일제히 상승했으나 일주일 전 대비 오름폭은 다소 줄었다. 강남구는 0.06% 올랐으며 서초구와 송파구는 각각 0.05%, 0.04% 상승했다. 반면 ‘노도강’ 지역은 약세를 보였다. 도봉구는 0.03% 떨어졌고, 강북구와 노원구는 각각 0.01%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일주일 전 하락폭을 유지하며 -0.02% 변동률을 나타냈다. 수도권(0.00%→0.00%)은 보합 유지, 서울(0.03%→0.03%)은 상승폭 유지, 지방(-0.04%→-0.04%)은 하락폭 유지됐다. 전셋값은 상승 랠리를 이어갔다. 금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7% 오르며 52주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다만 일주일 전 대비 상승폭은 0.02%포인트 줄었다. 부동산원은 “역세권, 대단지 등 선호도 높은 단지 위주로 수요는 꾸준하고 매물은 부족 현상을 보이며 상승세가 지속 중”이라며 “일부 단지는 최근 높아진 전셋값에 대한 부담으로 거래가 주춤하며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진단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03%) 대비 상승폭 유지됐다. 수도권(0.08%→0.08%)은 상승폭 유지, 서울(0.09%→0.07%)은 상승폭 축소, 지방(-0.02%→-0.02%)은 하락폭 유지됐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누나, 나야…” 매장서 옷 벗기고 성관계 요구, 거부하자 주먹 ‘퍽퍽퍽’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나경원 “밥도 못 먹겠다” 하소연한 이유는… 정지선 직전 바뀐 노란불…교차로 중간에 멈출 것 같아도 무조건 정지하라? [디케의 눈물 225] ‘음주 아니었다’며 ‘왜’ 그 선택을…김호중‧이광득의 ‘상식적’ 설명이 필요하다 [D:초점]

[시황] 코스피, 美 물가지표 둔화·금리인하 기대감에 2750선 탈환

코스닥도 상승…시총 상위주 강세 美 소비자 물가 시장 예상치 부합 환율 1340원대 하락 …종가 기준 42일만 코스피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둔화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기대에 상승 마감했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22.66포인트(0.83%) 오른 2753.00에 마감했다. 지수는 39.93포인트(1.46%) 상승한 2770.27에 출발한 직후 2770대에서 등락을 반복하다가 이후 상승폭을 줄였다. 투자주체별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264억원, 5936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개인은 9653억원을 순매도하며 차익실현에 나섰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했다. SK하이닉스(4.16%), 삼성바이오로직스(0.38%), 현대차(0.20%), 기아(0.70%), 셀트리온(1.10%), 포스코홀딩스(0.25%), KB금융(1.76%), 네이버(2.22%) 등은 올랐다. 반면 삼성전자(-0.13%), LG에너지솔루션(-1.04%) 등은 내렸다. 미국 경제 지표 둔화에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높아진 영향이다. 15일(현지시각) 미국 노동부는 4월 CPI가 전년 동월 대비 3.4% 올랐다고 밝혔다.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치로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대비 0.3% 올라 시장 예상치(0.3%)에 부합했다. 소매판매 지표도 예상치를 하회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4월 미국의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과 같은(0.0%) 7052억 달러로 집계됐다. 4월 수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0.4% 증가를 크게 밑돈 수준이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주식시장은 예상치에 부합한 물가와 둔화된 4월 소비에 위험자산 선호도가 확대되면서 신고가를 경신했고, 코스피도 외국인 자금 유입에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했다”며 “반도체, 밸류업 종목이 동반 상승하면서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8.22포인트(0.95%) 오른 870.37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은 10.16포인트(1.18%) 오른 872.31로 출발한 이후 상승폭을 키웠다. 투자주체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40억원, 739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홀로 798억원을 순매도 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 중 에코프로비엠(2.61%), 에코프로(2.96%), HLB(1.27%), 알테오젠(2.10%) 등은 상승했다. 반면 엔켐(-1.36%), 리노공업(-7.25%), 레인보우로보틱스(-0.73%) 등은 하락했다. 환율은 크게 내렸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24.1원 내린 1345.0원으로 마감했다. 환율은15.3원 내린 1353.8원에 개장한 뒤 장중 20원 넘게 등락하며 낙폭을 키웠다.종가 기준으로 1340원대까지 떨어진 건 지난달 4일(1347.1원) 이후 42일 만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누나, 나야…” 매장서 옷 벗기고 성관계 요구, 거부하자 주먹 ‘퍽퍽퍽’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정지선 직전 바뀐 노란불…교차로 중간에 멈출 것 같아도 무조건 정지하라? [디케의 눈물 225] “대만해협 어떻게 되든 무슨 상관”?…이재명이 틀렸다 김건희 여사, 캄보디아 총리 공식 오찬 참석…5개월 만의 공개 행보

2800선 목전 코스피…금리인하 기대에 낙관론 확산

코스피 지수가 2800선 돌파를 목전에 뒀다.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둔화되면서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가 고조된 영향이다. 뉴욕증시가 간밤 일제히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데 이어 국내 증시 역시 전고점을 뚫고 상승세에 올라탔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가 2800선 돌파를 목전에 뒀다. 미국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둔화되면서 연내 금리 인하 기대가 고조된 영향이다. 뉴욕증시가 간밤 일제히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데 이어 국내 증시 역시 전고점을 뚫고 상승세에 올라탔다. 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전국 집값 5개월 연속 하락…서울은 5개월 만에 상승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기자 = 고금리 등 여파로 부동산시장 침체가 심화하면서 전국 집값이 5개월째 떨어진 반면, 전셋값은 9개월 연속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울 집값은 주거 선호도가 높은 지역 위주로 상승 거래가 이뤄지며 5개월 만에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이 16일 발표한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가격은 지난 3월 대비 0.5%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12월 -0.10%, 올해 1월 -0.14%, 2월 -0.14%, 3월 -0.14%에 이어 5개월 연속 내린 것이다. 같은 기간 유형별로 아파트와 연립주택은 각각 0.08% 내렸다. 하지만 단독주택은 0.08% 상승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0.11%→-0.01%)이 다섯 달 연속 하락했지만 낙폭이 크게 작아졌다. 특히 서울(0.00%→0.09%)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돌아섰다. 작년 11월(0.10%) 이후 5개월 만에 오른 것이다. 성동(0.25%)·용산(0.22%)..

전국 아파트값 25주째 하락…5주 연속 낙폭 유지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기자 = 전국 아파트값이 5주째 같은 낙폭을 유지하며 25주 연속 하락했다. 반면 서울 아파트값은 5주 연속 동일한 오름폭으로 8주째 상승 중이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둘째 주(13일 기준) 아파트가격 동향 발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하락하며 25주째 떨어졌다. 낙폭은 5주째 같다. 같은 기간 인천(0.04%→0.02%)은 상승폭이 축소됐다. 미추홀구(-0.09%)에서 공급 물량이 지속 적체된 영향이다. 다만 경기(-0.03%→-0.02%)는 하락폭을 줄였다. 안양 동안구(0.15%)와 수원 영통구(0.10%)에서 오른 영향이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0.03% 오르며 8주째 상승했다. 오름폭은 5주 연속 동일하다. 강북(한강 이북지역)에선 성동(0.09%)·용산(0.08%)·마포구(0.06%) 등지에서 올랐다. 강남에선 강남(0.06%)·서초(0.05%)·양천(0.05%)·동작(0.05%)·영등포구(0.05%) 위주로 오르며 상..

‘서울 7주째 상승 vs 전국 24주째 하락’… 아파트값 양극화 심화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기자 = 전국 아파트값이 24주 연속 하락하고 있지만 서울 아파트값은 7주째 오르며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수도권에서도 경기는 하락한 반면 인천은 상승하며 관망세가 짙어지는 모양새다. 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5월 첫째 주(6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값은 0.02% 하락하며 24주 연속 떨어졌다. 낙폭은 4주째 같다. 하지만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값은 0.03% 올랐다. 4주 연속 같은 상승폭을 보이며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강북(한강 이북지역)에선 용산(0.14%)·성동(0.13%)·마포구(0.09%) 등이 상승했다. 반면 노원(-0.02%)·강북구(-0.02%) 등지는 하락했다. 강남 일대에선 강남(0.08%)·서초(0.07%)·영등포(0.06%)·송파(0.05%)·동작구(0.03%) 위주로 올랐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매수자와 매도자 간 거래 희망 가격차가 좁혀지지 않아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