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고형 할인점 매출 상승세 눈길…추가 출점 적극 검토

아시아투데이 이철현 기자 = 창고형 할인점의 매출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 홀세일클럽’은 올해 1∼4월 매출이 8.6% 늘었다. 이마트(-1.0%), 노브랜드 전문점(-7.8%)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기간 점포당 매출액도 533억원으로 이마트(296억원)의 2배에 육박한다. 트레이더스의 매장이 22개로 이마트(133개)에 비해 작은 규모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거둔 실적이다. 특히 올해 1∼5월 한우 등 축산물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5% 늘었다. 1.5∼2㎏의 덩어리 상품으로 집에서 직접 소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소분 상품에 비해 20∼30% 저렴하다. 냉동 과일·채소 매출도 각각 38%, 30% 올랐다. 트레이더스 내 푸드코트인 ‘T카페’의 1∼5월 매출도 20.5% 증가했다. 롯데마트의 창고형 할인점인 ‘맥스’도 올해 1∼5월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약 10% 오른 수치를 기록했다…

차우철 매직 롯데GRS, 수익 개선 성공…햄버거 본고장 美 공략 시동

아시아투데이 이수일 기자 = 롯데GRS가 글로벌 종합 외식업체로 도약하기 위해 해외 영토 확장에 재시동을 건다. 국내 햄버거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는 데다, 인구 감소가 필연적이어서 해외 시장 공략은 필수적이다. 올해 핵심 공략 시장은 K푸드 최대 수출국이자 햄버거 프랜차이즈의 본고장인 미국이다. 29일 롯데GRS에 따르면 회사는 한국식 버거인 ‘K 버거’를 앞세워 2025년 내 미국 시장에 현지 1호점 열 계획이다. 업계에선 로스앤젤레스(LA), 댈러스 등이 유력하다고 추정하고 있다. 현지 점포는 직영점이 유력한 상황이다. 직영점은 마스터 프랜차이즈(MF)보다 인건비 등 초기 투자비용이 더 많이 들지만, 회사가 원하는 방식대로 점포를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메뉴는 롯데리아 대표 메뉴인 ‘불고기버거’, K 버거의 정체성을 알릴 수 있는 ‘전주비빔라이스버거’ 등이 관측되고 있다. 이들 메뉴는 최근 미국 시카고 맥코믹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외식 박람회 NRA 쇼에서 관람객 등을..

“비용효율화 통했다” LF, 1Q 영업익 246억···전년比 108%↑

아시아투데이 서병주 기자 = LF가 소비경기 둔화에도 비용효율화 효과에 힘입어 영업이익이 두배 이상 성장했다. LF는 1분기에 매출 4466억원, 영업이익 246억원을 기록했다고 16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개선됐으며 영업이익은 108%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도 56.1% 오른 210억원으로 집계됐다. LF 관계자는 “국내 소비경기 둔화에 따른 의류 수요 감소에도 패션 부문은 전년과 비슷한 매출을 유지했으며 자회사 내 부동산금융·푸드사업의 매출 증가로 연결 기준 매출이 소폭 증가했다”며 “비용효율화를 통해 패션부문의 영업이익이 개선되는 동시에 자회사의 연결기준 영업이익도 함께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LF는 주력 브랜드인 ‘헤지스’와 ‘닥스’, ‘리복’ 등을 성장 주력 사업으로 이어가며 하반기 패션시장을 맞는다는 전략이다. 헤지스는 기진출 국가인 중국, 대만, 베트남 외에도 신규 국가 진출 방안도 모색하고 있으며 리복은 혁신적인 제품 출시 및 스포츠 제품..

넥슨, 1분기 영업익 2605억원… ‘역대최고’ 전분기 기저효과로 48.2%↓

넥슨이 올해 1분기 전망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다. 넥슨은 2024년 1분기 매출 1084억엔(한화 9689억원), 영업이익 291억엔(260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48% 감소한 수치다 넥슨이 올해 1분기 전망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다. 넥슨은 2024년 1분기 매출 1084억엔(한화 9689억원), 영업이익 291억엔(260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48% 감소한 수치다

CJ CGV, 4분기 연속 영업 이익 흑자…1분기 매출 3929억원

2분기 ‘범죄도시4’ 흥행과 잇따른 할리우드 기대작 개봉, 매출 증가 지속 전망 CJ CGV가 글로벌 사업 성장에 힘입어 4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했다. CJ CGV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3929억원, 영업이익 45억원을 기록해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4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달성했다고 10일 밝혔다. 국내에서는 한국영화 ‘파묘’ 등의 흥행으로 관람객이 증가했고 베트남, 인도네시아, 튀르키예 등 글로벌에서도 영화 시장 회복에 따라 매출이 성장했다. 국내에서는 매출 1801억원,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52억원 개선한 147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서울의 봄’에 이어 ‘파묘’가 천만 관객을 달성하며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 F&B와 다양한 MD 상품 등 컨세션 매출 비중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돼 영업 적자도 줄어들었다. 국가별로 중국에서는 매출 758억원,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56억원 개선한 11억원을 기록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매출 226억원, 영업이익 26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튀르키예에서는 매출 424억원, 영업이익 50억원을 기록했다. 국내에서는 ‘범죄도시4’의 흥행과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인사이드 아웃2’ 등 할리우드 기대작들의 연이은 개봉으로 관람객 회복이 가속화돼 매출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지속할 예정이다. CJ CGV 허민회 대표는 “2분기에는 국내 및 할리우드 기대작들이 다양하게 개봉하는 만큼 ScreenX와 4DX 같은 기술을 통해 콘텐츠의 가치를 높이는데 더욱 주력해 나가겠다”며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1분기 영업이익을 달성한 만큼 올해 영업이익은 물론 당기순이익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누나, 나야…” 매장서 옷 벗기고 성관계 요구, 거부하자 주먹 ‘퍽퍽퍽’ 일곱째 낳아 1억 받은 고딩엄빠…후원금 전부 여기에 썼다 성폭행 저지른 정명석에 무릎꿇은 경찰…현직 경감 ‘주수호’였다 “김정은, 매년 처녀들 골라 성행위” 北기쁨조 실체 폭로한 탈북女

육계 안정세 효과로 수익 반등…교촌F&B “신사업 지속 확대 추진”

아시아투데이 이수일 기자 = 교촌에프앤비가 국내·외 사업과 함께 신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올 1분기엔 육계(닭) 가격 안정세에 힘입어 수익이 개선됐지만, 앞으로는 신사업을 통해 재도약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것이 회사의 판단이다. 10일 교촌에프앤비에 따르면 회사는 고객 수요 회복에 나서며 실적 반등을 꾀하는 동시에 국내·외 사업과 신사업을 지속 확대해 기업 가치를 끌어올리기로 했다. 연결기준 신사업 매출은 32억 8600만원(2023년 1분기)에서 38억 7600만원(2024년 1분기)으로 18.0% 증가했다. 이로 인해 신사업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7%에서 3.4%로 0.7% 포인트 상승했다. 글로벌 사업과의 매출 비중 격차는 1.3%에서 0.3%로 1.0% 포인트 좁혔다. 회사가 신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는 이유다. 현재 회사가 적극 밀고 있는 신사업은 △메밀단편 등 신규 외식브랜드 △소스사업 △친환경 포장재 등이다. 실제 이들 신사업의 매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