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후일담] 2년째 유럽 안 간 SK온, 웅크려야 멀리 뛴다

아시아투데이 김한슬 기자 = “사실 올 초에 보여줄 건 다 보여줬으니깐요.” 지난 19~21일(현지시간) 사흘간 독일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유럽 2024’가 막을 내렸습니다. 올해로 2년 차를 맞은 전시회에는 80여개에 달하는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한데 모여 각 사의 기술력을 자랑했는데요. 이런 와중에 국내 대표 배터리사 SK온이 2년 내내 행사에 불참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립니다. SK온 측의 설명을 듣자면 이렇습니다. 이미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를 국내 배터리업계 중 유일하게 참가했고 3월에 치러진 역대 최대 규모의 국내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에서도 전 역량을 보여줬다는 겁니다. 행사장에는 어린이 영웅으로 불리는 ‘번개맨’이 깜짝 등장해 이벤트를 진행했고, SK온의 배터리가 장착된 글로벌 유수 브랜드의 전기차 미니어처와 실물 차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볼거리가 제공돼 관람객의 발걸음을 멈추게 했습니다. 이미 비전을 다 공개했고 이제..

파인원, 국내 배터리 기업에 이차전지용 습식 탈철기 수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핵심부품·이차전지 장비 전문 업체인 파인원이 국내 배터리 3사 중 한 곳으로부터 이차전지용 전자석 탈철기를 수주했다고 23일 밝혔다. 전자석 탈철기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에서 제품 품질 저하와 폭발 원인이 되는 금속 이물을 제거한다. 파인원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핵심부품·이차전지 장비 전문 업체인 파인원이 국내 배터리 3사 중 한 곳으로부터 이차전지용 전자석 탈철기를 수주했다고 23일 밝혔다. 전자석 탈철기는 이차전지 제조 공정에서 제품 품질 저하와 폭발 원인이 되는 금속 이물을 제거한다. 파인원은

스탠다드에너지, KAIST에 실험용 바나듐 ESS 공급

스탠다드에너지가 카이스트 문지캠퍼스에 개발 실험용 바나듐이온배터리(VIB)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공급한다고 21일 밝혔다. 대학에서 ESS 실험이 이뤄지는 이례적 사례다. 스탠다드에너지는 VIB ESS뿐만 아니라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전력변환시스템(PMS), 스탠다드에너지가 카이스트 문지캠퍼스에 개발 실험용 바나듐이온배터리(VIB)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공급한다고 21일 밝혔다. 대학에서 ESS 실험이 이뤄지는 이례적 사례다. 스탠다드에너지는 VIB ESS뿐만 아니라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전력변환시스템(PMS),

“‘우루스SE’에 삼성배터리 탑재… 韓기업과 협업 기회 찾고있다”

지난달 24일(현지 시간) 오전 중국 베이징의 한 호텔. 큰 키에 말끔한 슈트를 차려입은 이탈리아 럭셔리카 브랜드 람보르기니의 슈테판 빙켈만 회장이 기자에게 인사를 건넸다. 람보르기니 차량의 화려한 색상처럼 양쪽 손목에는 알록달록한 팔찌가 눈에 들어왔다. 정치학을 전공한 그는 1994년 자동차 산업에 뛰어든 뒤 2005∼2016년 12년간 람보르기니 회장을 맡았다. 2016년 아우디스포츠로 자리를 옮겼다가 2020년 다시 돌아온 람보르기니의 상징과도 같은 인물이다. ● “우루스SE에 삼성SDI 배터리 탑재” 이날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빙켈만 회장은 람보르기니 최초 하이브리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우루스SE’에 삼성SDI 배터리가 들어가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전날 빙켈만 회장은 베이징에서 우루스SE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는 행사를 가졌다. 삼성SDI 배터리를 탑재한 이유에 대해 “람보르기니는 배터리 파워, 운행 가능 거리, 공급량, 비용, 타이밍 등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

K-배터리 1Q 점유율 전년비 2.8%p↓…“하반기 불안요소 해소”

1~3월 국내 3사 글로벌 시장점유율 23.5% 유럽과 미국지역 내 판매량 예상치 밑돌아 중국 CATL, 전년 동기 대비 31.9%로 1위 올해 1~3월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CATL은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며 글로벌 1위 자리를 지켰다.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의 성장세는 올해 하반기부터 중국과 경쟁이 적은 주요 시장에서 신차를 출시하며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7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3월 전 세계 전기차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은 약 158.8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동기 대비 22.0% 성장했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2.8%p 하락한 23.5%를 기록했다. 유럽과 미국지역에서의 2024년 1분기 판매량이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한국 배터리 3사의 점유율도 낮아졌다. SNE리서치는 올해 하반기부터는 상대적으로 중국과의 경쟁이 적은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신차가 출시되고, 고성장세가 예상되는 미국에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배터리 JV가 예정돼 있어 점차 불안요소가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7.8%(21.7GWh) 성장하며 3위를 기록, 삼성SDI는 국내 3사 중 가장 높은 36.3%(8.4GWh)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SK온은 8.2%(7.3GWh) 역성장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 모델3·Y, 포드 머스탱 마하-E, 현대 아이오닉6 등 유럽과 북미에서 높은 인기를 보이는 차량들의 판매량이 성장세를 견인했다. 삼성SDI는 BMW i4·5·X, 아우디 Q8 e-트론과 PHEV가 유럽에서 견조한 판매량을 나타냈고 북미에서 리비안 R1T·R1S가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고성장세를 이어갔다. BEV, PHEV 두 타입의 프리미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공략한 삼성SDI는 고부가 배터리 P5의 급성장으로 이번 1분기 실적에서 3사 중 유일하게 안정적인 흑자를 나타냈다. SK온은 전년 동기보다 8.2% 낮은 배터리 사용량을 기록했다. 북미에서의 포드 F-150가 판매 호조를 보였으나 그 외 지역에서 현대차 아이오닉5, 기아 EV6의 판매량 감소 영향으로 역성장을 기록했다. 중국의 CATL은 전년 동기 대비 31.9%(60.1GWh) 성장률로 글로벌 1위 자리를 유지했다. BYD는 춘절의 영향으로 전기차 판매량이 급감했던 지난달과 달리 3월에는 높은 판매량을 보이며 11.9%(22.7GWh) 성장률로 글로벌 2위를 기록했다. 최근 태국을 중심으로 현지 공장 가동을 본격화하고 있어 중국 외 글로벌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 나가고 있다. 미국의 강력한 규제에도 CATL과 BYD는 1분기 실적에서 안정적인 매출과 영업이익을 보였다. 두 업체의 공통점은 공급망 수직 계열화에 기반한 가격경쟁력으로 이는 일시적 수요 정체기인 현 상황에 더욱 큰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SNE리서치는 설명했다. 전세계적으로 소비자들의 BEV 선호도는 낮아지고 PHEV와 HEV가 예상보다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SNE리서치는 계속되는 고금리 기조, 비싼 전기차 가격, 충전 인프라 부족을 공통된 원인으로 지목했다. 또한, BEV 대비 용량이 적은 PHEV와 HEV가 늘어난 점과 메탈가 하락은 배터리 업계에도 연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어제 사랑을 과격하게 해서’…”남편과 상간녀가 홈캠에 잡혔습니다” 女정치인, 24세 스님과 불륜…남편이 촬영·유포한 현장 상황 “성형한 적 없고 이혼은 했다” 60세 미인대회 우승女 솔직 발언 의사들이 증원 두려워하는 진짜 이유 [기자수첩-사회] “뚱뚱하면 달려” 6세 아들 러닝머신에 옭아매 죽인 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