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다이큐에서 확인한 ‘일본 브랜드’들의 공동의 목표

슈퍼 다이큐에 출전 중인 일본 5개 자동차 제조사는 ‘탈 탄소’에 대한 도전을 계속할 것이며,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자동차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협력하고 경쟁할 것이다. 이를 위해 스티커 부착과 탄소중립을 구현하는 방식을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다. 다섯

좋은 타이어는 ‘모터스포츠의 경험’에서 나온다

일본 후지 스피드웨이에서 개최된 슈퍼 다이큐 내구 레이스에 브리지스톤 타이어가 공식 타이어로 사용됐다. 선수들은 브리지스톤 타이어의 성능과 항상성에 만족했다. 브리지스톤은 다양한 모터스포츠 무대에서 연구, 검증을 거쳐 전세계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짝퉁 메이드인 이탈리아’…피아트 스티커 때문 곤혹

[더구루=윤진웅 기자] 이탈리아 대표 자동차 브랜드 피아트 초소형 전기차 토폴리노EV가 이탈리아 경찰에 대량 압수되는 일이 발생했다. ‘메이드 인 이태리’의 정통성을 지키려는 당국의 의지는 로컬 브랜드에도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이탈리아 경찰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주 리보르노 항구에서 토폴리노EV 134대를 압수했다. 문손잡이 옆에 부착된 이탈리아 국기 스티커를 문제 삼았다. 이탈리아는 지난 2003년 법을 제정하고 자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제품에 삼색 국기 등 이탈리아를 연상하게 만드는 표기를 금지하고 있다. 토폴리노EV는 모로코에서 생산됐다. 피아트는 토폴리오EV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개발됐기 때문에 스티커를 부착했다고 설명했지만, 이탈리아 당국은 소비자가 이탈리아산으로 오인할 수 있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피아트는 문제 해결을 위해 당국 지시대로 스티커를 제거하기로 했다. 이탈리아의 까탈스러운 법에 어려움을 겪은 업체는 피아트뿐만 아니다. 알파 로메오 역시 비슷한 일로 골머리를 앓았다. 지난달에는 첫 번째 전기차의 모델명을 ‘밀라노’로 정했다가 이탈리아 정부의 반발에 모델명을 ‘주니어’로 변경했다. 주니어는 폴란드에서 생산되고 있다. 한편 토폴리노EV는 오리지널 500모델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된 전기차이다. ‘작은 쥐’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구체적인 제원과 성능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기아, 인도 볼륨모델 셀토스 페이스리프트 출격…자율주행 레벨2 탑재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인도 볼륨모델 셀토스가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해 돌아왔다. 세련미 넘치는 내외관은 물론 자율주행 레벨2 단계가 적용. 현지 운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25일 기아 인도판매법인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 17일 인도 시장에 셀토스 페이스리프트를 공개했다. 독특한 시그니처를 자랑하는 전면부 스타맵 LED DRL(Star Map LED DRL)과 후면부 테일램프와 범퍼 디자인을 강조했다. GT-라인과 X-라인 등 상위 트림에만 적용하는 듀얼 스포츠 배기 시스템도 선보였다. 세련미가 더해진 인테리어도 뽐냈다. 10.2인치 디지털 디스플레이 2개를 연결해 내부를 더욱 스타일리시하게 꾸몄다는 설명이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8방향 전동 운전석 통풍 시트 △보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스마트 공기 청정기 △블라인드 뷰 360도 카메라 등 운전자 편의사양을 대거 적용했다는 점도 조명했다. 특히 기아는 이번 셀토스 페이스리프트 모델에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레벨2 단계가 적용됐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15가지 표준 안전 기능과 어우러져 운전자의 안전을 최대로 보장한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기아는 이달 말 셀토스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공식 출시하고 판매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인 트림과 판매 가격 등도 출시일에 맞춰 공개할 예정이다. 셀토스는 대표적인 브랜드 현지 볼륨모델이다. 지난 2019년 인도 시장에 출시된 이후로 꾸준한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 지난해 현지 출시 4년 만에 50만 대 판매를 달성하기도 했다. 한편 기아는 연말까지 현지 쇼룸을 700개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현지 판매 모델 △쏘넷 △카렌스 △셀토스의 인기 상승과 올해 EV9과 4세대 신형 카니발 출시를 고려해 고객 접점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인도 내 236개 도시에 총 522개 쇼룸을 운영하고 있으며, 쇼룸이 없는 지역에 대해서는 모바일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해 공백을 메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