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캘리포니아주 환경 정책 주도…전기차 확대 자신감 있는 까닭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친환경차 정책을 선도하는 캘리포니아 주가 전기차 등 무공해 차량 정책에서도 선두를 달리고 있다. ‘ZEV(Zero Emission Vehicle, 무공해 차량) 리더십’이라는 슬로건을 토대로 선도적으로 정책을 도입하고,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캘리포니아 주의 자신감은 전기차 판매량으로 나타나고 있다.1일 코트라와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원회(California Energy Commission) 등 업계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지난 10년 동안 무공해 차량 1022% 증가했다. 지난 2023년 3분기 무공해 차량 판매 비율은 26.7%로 역대 최고점을 경신했다. 미국 전체 무공해 차량 판매 비율(18%)보다 8.7%포인트 높은 수치이다. 2023년 연간 캘리포니아주 전체 판매 신차 대비 무공해 차량 비율은 25%로, 신차 4대 중 1대는 배기가스 배출이 없는 무공해 차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1분기 무공해 차량 판매량은 더욱 주목할 만하다. 해당 기간 캘리포니아 주에서 판매된 무공해 차량은 총 10만2507대로 역대 1분기 사상 최고 판매치를 기록했다. 이 중 전기차(BEV)는 8만5975대로 83.9%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하이브리드카(PHEV) 16,335대(15.9%),수소연료전지차(FCEV) 197대(0.2%)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2년에 세운 무공해 차량 누적 판매 150만 대 목표도 조기에 달성했다. 당초 목표는 2025년이었지만 이보다 2년 앞선 2023년 초과 달성을 기록했다. 지난 2020년 주지사 행정 명령에 따라 2035년까지 판매되는 모든 신차 판매를 무공해 차량으로 채우기로 하면서 판매량이 급증한 데 따른 결과이다. 지난 10년 동안 무려 1022% 증가했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도 무공해 차량 판매 증가에 한몫했다. 행정 명령 발표 이후 캘리포니아 전역에 9만4000개의 공공 및 공유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됐다. 이어 올해 2월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4만 개의 신규 공공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위해 19억 달러 규모의 신규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미국에서 가장 광범위한 무공해 차량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올해 11월 치뤄지는 미국 대선의 승자가 누구냐에 따라 미국의 무공해 차량 및 인프라 정책 역시 그 향방이 달라질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지만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이와 상관없다는 듯 무공해 차량 정책을 밀고 나가고 있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미국의 다른 어떤 주도 제로 배출의 미래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캘리포니아 보다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 않다”며 “캘리포니아는 기후 행동의 기준을 세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도로에서 공공 사용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약 18만2000개로 집계됐다. 바이든 취임 전 대비 90% 이상 증가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