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은행, 사실상 기준금리 4개월 연속 동결…위안화 약세에 신중론

이투데이
|
2024.06.20 오후 04:24
|

중국 인민은행, 사실상 기준금리 4개월 연속 동결…위안화 약세에 신중론

앞서 MLF 금리도 10개월 연속 동결
수개월 내 금리나 지준율 인하 전망

중국의 사실상 기준금리인 LPR 추이. 단위 %. 검은색: 5년물 LPR, 빨간색: 1년물 LPR. 출처 블룸버그

중국이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20일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PBOC)이 주택담보대출 기준이 되는 5년물 LPR을 연 3.95%로, 일반 대출 기준 역할을 하는 1년물 LPR을 3.45%로 유지한다고 전했다. 이로써 기준금리가 4개월 연속 동결되면서 통화정책 안정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민은행은 2월 5년물 LPR을 4.2%에서 3.95%로 인하하고 1년물 LPR은 3.45%로 유지한 이후 지금까지 금리에 변동을 주지 않고 있다.

앞서 17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도 10개월 연속 동결하면서 시장에서는 LPR 동결을 예상한 상태였다. 블룸버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의 금리 격차가 확대되면 위안화 약세 우려가 더 커질 수 있어 인민은행이 금리 인하에 신중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MLF는 금융기관에 자금을 공급해 기업이나 가계에 대한 대출 확대를 꾀하는 인민은행 정책 도구다. 중국의 통화정책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중국의 사실상 기준금리인 LPR에도 영향을 미친다.

다만, 중국이 지난달부터 경기 회복을 위한 부양책으로 1조 위안(약 188조 원) 규모의 ‘초장기 특별 국채’ 발행을 시작한 만큼, 수개월 내 LPR이나 지급준비율(RRR·지준율)을 인하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는 전날 “일부 은행의 금리가 실제 최고 대출 금리와 크게 차이가 난다”면서 앞으로 몇 달 안에 LPR이 인하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앞서 17일 나온 중국의 5월 소매판매는 시장예상치보다 높은 3.7%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달 산업생산 증가율은 예상보다 낮은 5.6%에 그치는 등 중국 경제는 소비와 제조업, 투자 등에서 엇갈린 통계가 나오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