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 선박 건조 현장에 자동용접 장비 적용…효율성↑

아시아투데이
|
2024.06.19 오전 10:19
|

삼성중공업, 선박 건조 현장에 자동용접 장비 적용…효율성↑

키홀 플라즈마 용접 장면
삼성중공업 자동용접 장비로 키홀 플라즈마 용접을 시행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이 선박 건조에 필요한 배관 용접을 자동으로 하는 장비를 자체 개발, 생산 현장에 적용한다. LNG선 수주가 늘어나면서 스테인리스 배관재 용접량도 크게 늘어난 만큼 공정을 자동화해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19일 삼성중공업은 ‘키홀 플라즈마 배관 자동용접 장비(K-PAW, Keyhole Plasma Arc Welding)’를 자체 개발하고 조선업계 최초로 생산 현장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플라즈마 용접은 고속으로 분출되는 고온의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해 용접하는 방식이다. 플라즈마 아크로 모재를 관통해 ‘구멍'(Keyhole)을 뚫고 이면 비드를 형성해 자동으로 배관 초층 용접을 할 수 있다. 고속 작업에도 용이하다.

배관은 일반적인 판형 부재와 달리 한쪽 면에서만 용접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관 내부에 이면 비드를 형성하는 초층 용접이 중요하다. 자동화 적용이 어려워 수동 용접에 의존해왔고, 이에 따라 품질 편차가 발생하고 고기량자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어왔다.

K-PAW는 이런 문제를 극복하고자 개발됐다. 특히 최근 주력 선종인 LNG운반선 수주가 증가함에 따라 스테인레스스틸 배관재 용접량이 크게 늘면서 그 중요성이 더 커졌다.

최근 최성안 삼성중공업 부회장이 참관한 가운데 현장 적용 실증 테스트를 해 본 결과, 구경 24인치 배관을 용접할 때 수동 TIG(텅스텐 가스 삽입) 용접은 66분(4회 용접) 소요되는 반면 K-PAW는 20분(2회 용접)에 마쳐 용접 속도가 3배 이상 빨라진 것을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삼성중공업은 K-PAW가 배관 용접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최두진 삼성중공업 로보틱스사업팀장은 “K-PAW는 조선업계 배관 용접의 난제였던 초층 용접 자동화를 최초로 실현한데 의미가 있다”고 말하고 “올해 말까지 AI를 활용한 자동 용접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개발해 현장 자동화·무인화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