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에 ‘AI 주차 단속 시스템’ 운영

아주경제
|
2024.06.13 오후 01:40
|

강남구,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에 ‘AI 주차 단속 시스템’ 운영

AI 주차 단속 시스템 사진강남구
AI 주차 단속 시스템. [사진=강남구]

강남구가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에 부정주차를 방지할 AI 주차 단속 시스템을 도입한다.
 
강남구는 7월 1일부터 도산공원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에 ‘AI 부정주차 단속 시스템’을 운영한다고 13일 밝혔다. 민원이 많이 발생한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 총 11개소 200면이 대상이며, 도산공원을 제외한 나머지 10개소에서는 9월부터 AI 단속시스템을 시작한다.
 
거주자 우선 주차는 주택가의 주차난 해소를 위한 것으로 인근 주민이 분기별 사용료를 내고 주택가 이면도로에 설정된 주차구획을 이용하는 제도다.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에 부정주차 시 견인되거나 과태료를 물 수 있다.
 
하지만 발레파킹(대리주차)과 부정주차를 하는 이들로 실사용자들이 주차를 못 하는 문제가 빈번했다. 또 현장 단속과 견인 차량이 도착하기 전까지 사용자들은 다른 구역에 부정주차를 해야 하는 등 악순환이 유발됐다.
 
이에 구는 상시 단속의 필요성과 인력 부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민간업체와 손잡고 단속 시스템을 연구했다. 그 결과 AI 주차 단속 시스템을 개발하고 특허 출원까지 마쳤다.
 
이 시스템은 주차면에 설치된 단속 장비 카메라가 차의 번호판을 식별해 부정주차를 단속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구는 AI 주차 단속 시스템을 통해 부정 주차가 발생하는 즉시 단속하고 차량번호를 관리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료 부과와 견인 조치가 신속히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구는 공유주차 제도 활성화에 AI 주차 단속 시스템이 도움이 될 거라 전망한다. 거주자 주차면 공유 사업은 주차구역이 비어있는 시간대에 모바일 앱을 통해 빈 주차면을 찾아 사전 예약 후 이용할 수 있는 제도다.
 
하지만 주차면을 예약한 자리에 부정주차 차량이 있어 불편함이 제기돼 왔다. AI 단속 시스템은 이런 불편함을 방지해줄 것으로 전망된다. 단속 장비에 붙어있는 큐알(QR) 코드를 통해 현장에서 바로 예약·결제해 주차면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료는 30분에 900원이며 최대 10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다.
 
구는 앞으로 AI 주차 단속 시스템 운영 결과를 토대로 상습 부정주차구역과 발레파킹이 성행하는 지역에 설치면을 확대해 나가 단속 인원과 예산을 줄여 가겠다는 방침이다.
 
조성명 강남구청장 은 “주택가의 심각한 주차 문제를 막기 위해 운영하는 거주자 우선 주차제도를 이번 AI 단속시스템으로 정상화하겠다”며 “아울러 주차면 공유 제도를 더욱 활성화해 구민들의 주차 걱정을 덜어 살기 좋은 강남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