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국회에 떠는 기업들] “소통 아닌 호통 국회, 총수 불러 망신주는 일 없었으면”

아시아투데이
|
2024.06.12 오후 05:36
|

[22대 국회에 떠는 기업들] “소통 아닌 호통 국회, 총수 불러 망신주는 일 없었으면”

국회 사진 아투 이병화 기자
기업인들은 22대 국회에서는 최고경영진을 불러 호통 치는 ‘관행’이 개선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국회 상임위원회 개최를 앞두고 의사봉이 놓여 있다./아시아투데이 이병화 기자

“총수들 불러서 망신 주는 일은 없었으면 하네요.” 최근 만난 한 대기업 임원은 22대 국회 개원 소식에 이 같이 말했다. 기업인 입장에서 ‘정치 리스크’ 가운데 하나가 국회가 기업 최고경영진을 불러 호통 치는 장면을 연출하는 것이다. 그는 “과거엔 국정감사 시즌에 긴장하는 정도였는데, 이번 국회 분위기를 보면 상시 긴장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12일 산업계에 따르면 기업인들은 국회를 향해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들이 마음껏 활동을 할 수 있게 도와달라”며 친(親)기업 국회를 당부했다. 경제단체 한 관계자는 “입법부가 ‘기업 특혜 프레임’ 벗어나 경제 활성화 법안을 화끈하게 밀어달라”고 말했다.

특히 기업인들은 국회가 최고경영진을 불러 호통 치는 ‘관행’이 이번에는 개선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시장 환경에 대비하고 일선에서 미래전략을 세워야 할 기업인이 대(對)국회 응대에 시간을 쏟아야 하는 것 자체가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는 매년 국정감사 시즌마다 기업인들을 증인명단에 올려왔다. 지난해 더불어민주당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감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를 증인으로 신청했다. 기업인을 불러 호통치고 ‘죄송하다’는 답을 듣는 게 국회의원 입장에선 이슈를 끌 수 있는 자극적 인기콘텐츠다.

◇”22대 국회 ‘기업인 호통쇼’만 안 해도 성공”
5대 그룹 한 임원은 “국회에선 단순히 이슈를 만들겠다는 의도로 총수를 부르는데, 기업에서는 주주는 물론 산업 생태계 전반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 문제”라며 “이런 ‘호통쇼’만 안 해도 성공한 국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산업계에선 이번 국회가 야당의 독주 속에 기업을 옥죄는 법안을 쏟아낼 것으로 예상하며 소통창구 마련에도 한창이다. 국내 한 대기업은 국회에 기업의 입장을 설명하는 대관(對官) 부서 인원을 조정할지 검토하고 있다. 해당 기업 관계자는 “결국 22대 국회에선 야당과 소통해야 하지 않나. 지금처럼 정부여당 중심의 대관이 큰 의미가 있는지 검토 중”이라고 했다.

어느 때보다 위기의식이 높아진 산업계에서는 올해 초 취임한 윤진식 무역협회장의 역할론에 대한 기대감도 나온다. 윤 회장이 재선 국회의원(18·19대) 출신이라는 점은 역대 무역협회장이 재계와 관료 출신이었던 것과 차별화되는 부분이다. 산업계가 정치권과 내밀한 교감이 필요할 때 든든한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업인의 발목을 잡는 정치 리스크를 지적하며 “(기업인이) 제때 필요한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면 기업경쟁력은 훼손될 수밖에 없다. 그 자체가 국가손실이고 결국은 국민이 떠안는 것”이라며 “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진정한 민생’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