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 투르크메니스탄 플랜트 개발사업 협약 체결

아이뉴스24
|
2024.06.11 오전 10:15
|

현대엔지니어링, 투르크메니스탄 플랜트 개발사업 협약 체결

[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2024 중앙아 3개국 경제사절단’ 주요 참가기업으로 투르크메니스탄 주요 국영기업들과 화공플랜트 관련 2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10일일 투르크메니스탄 아쉬하바트 오구즈칸 대통령궁에서 진행된 현대엔지니어링·투르크멘가스 간 기본합의서(FA) 체결식에 참석한 홍현성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이사(왼쪽)와 막삿 바바예프 투르크멘가스 회장(오른쪽)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한민국 대통령실]

‘2024 중앙아 3개국 경제사절단’은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등 정부 주요 관계부처 주관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 목적 중 하나인 경제협력을 담당할 주요 기업들이 포함됐다.

경제사절단 일정 첫 날인 지난 10일, 수도 아쉬하바트에 있는 오구즈칸 대통령궁에서 진행된 대한민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공동성명 및 MOU서명식’에 참석한 현대엔지니어링은 투르크메니스탄 국영가스공사 투르크멘가스(Turkmengas)와 ‘갈키니쉬 가스전(Galkynysh Gas Field) 4차 개발 사업’에 대한 기본합의서(FA)를 체결했다.

본 체결식에는 양국 정상인 윤석열 대통령과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이 임석하고, 홍현성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와 막삿 바바예프 투르크멘가스 회장이 참석했다.

‘갈키니쉬 가스전 4차 개발 사업’은 투르크메니스탄 정부가 최우선 순위로 선정한 사업으로, 수도 아쉬하바트에서 동남쪽 약 350km 지점에 위치한 갈키니쉬 가스전 내 30개의 가스정(Gas Well) 개발과 연 100억 입방미터(10BCMA) 규모의 천연가스 처리시설과 부대시설 공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대엔지니어링은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 투르크멘히미야(Turkmenhimiya)와 ‘키얀리 폴리머 공장(Kiyanly Polymer Plant) 정상화 사업 2단계’에 대한 협력계약(CA)도 체결했다.

본 체결식 역시 양국 정상이 임석한 가운데 홍현성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와 도브란겔디 사바예프 투르크멘히미야 회장이 서명했다.

수도 아쉬하바트 북서쪽 약 500km 지점에 위치한 ‘키얀리 폴리머 공장’은 2018년 준공되었으나, 현재는 운전을 멈춘 상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공장 정상 가동을 위해 1단계 사업인 기술 감사(Technical Audit)를 이미 진행 중이며, 기술감사의 결과를 토대로 연내 복구사업(2단계)에 착수할 계획이다. 복구사업 종료 후에는 운전원 양성, 운전 매뉴얼 정립 등 다방면의 지원을 포함한 운영/유지보수(O&M) 사업(3단계)도 진행될 예정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번 협력계약으로 ‘키얀리 폴리머 공장 정상화 사업 2단계’의 본 계약 체결과 3단계 O&M 사업 연계 수주를 기대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2009년 13억달러 규모의 ‘갈키니쉬 가스탈황설비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투르크메니스탄에 첫 발을 내디딘 이후 2012년 4억7000만달러 규모의 ‘투르크멘바시 정유공장’, 2014년 2억5000만달러 규모의 ‘키얀리 원유처리 플랜트’와 29억8000만달러 규모의 ‘에탄크래커 및 PE/PP 생산설비 플랜트’ 등 다수의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2011년 ‘우스튜르트 가스케미컬 플랜트’를 시작으로 2016년 24억9000만달러 규모의 ‘우즈베키스탄 GTL(Gas-to-Liquid) 프로젝트’, 26억6000만달러 규모의 ‘칸딤(Kandym) 가스처리시설 프로젝트’ 등 총 6건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중앙아시아에서 탈황설비 및 석유화학, GTL 등 다양한 공종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준공하면서 쌓은 현지 정부·발주처와 두터운 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이번 업무협약과 관련된 사업은 물론 향후 발주될 다수의 연계사업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중앙아시아에서 오랜 기간동안 축적한 사업수행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한민국과 중앙아시아 사이 경제협력 관계 강화에 일조할 것”이라며 “이번 업무협약 관련 사업의 본 계약을 성사시켜 글로벌 플랜트 건설 강자의 면모를 입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