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2%대 안착하나] 잡히는 과일·채소값…환율·공공요금 남은 ‘변수’

아주경제
|
2024.06.04 오전 11:03
|

[물가 2%대 안착하나] 잡히는 과일·채소값…환율·공공요금 남은 ‘변수’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2%대를 나타내며 하향 곡선을 그렸다. 지난 달 사과, 배 등 신선과일 가격은 여전히 높았지만 4월보다 전체 물가 상승에 대한 기여도가 낮아지면서 안정세를 찾아가는 모양새다. 다만 급등한 환율 의 영향으로 상승 중인 수입물가와 이달 말 인상 여부가 결정되는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이 하반기 물가 흐름의 변수로 지목된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5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09(2020=100)로 1년 전보다 2.7% 올랐다. 지난해 8~12월 3%대 고공행진을 이어간 물가상승률은 1월 2.8%를 기록하며 2%대로 내려섰다. 이후 2~3월 각각 3.1%로 올라선 이후 4월(2.9%)부터 2%대를 유지 중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은 먹거리와 석유류가 주도했다. 농축수산물은 8.7% 상승했다. 사과(80.4%), 배(126.3%) 등 신선과실 가격이 크게 오른 영향이다. 정부가 가격 안정 자금을 투입한 돼지고기(-5.2%), 국산쇠고기(-2.3%), 닭고기(-7.8%) 등 축산물도 올 1월 이후 4개월만에 하락세를 나타냈다. 

지난 해에 비해 과일, 채소류 가격은 높았지만 전월대비 상승폭이 축소되고 물가 상승에 기여도도 낮아지고 있다. 올 4월 10.6%였던 농축수산물 물가 상승률 지난달 1.9%포인트 낮아졌으며 같은 기간 물가 상승 기여도도  0.77%포인트에서 0.63%포인트로 내려갔다. 

반면 3월부터 반등한 석유류 가격은 3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5월 석유류 제품은 1년 전보다 3.1% 올랐다. 2023년 1월(4.1%) 이래 16개월 만에 최고치다. 석유류의 물가 상승률 기여도 역시 지난달 0.12%를 나타내며 4월보다 0.07%포인트 올랐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는 국제유가 변동에 민감하게 등락하게 되는데 지난달에는 올랐다가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지난달 오른 국제유가가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물가의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2.0%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주로 활용하는 방식인 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도 2.2%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1%, 신선식품지수는 17.3% 올랐다. 신선식품지수 중 신선과실이 1년 전보다 39.5%, 신선채소는 7.5%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정부는 2%대 물가 안착을 위해 하반기 먹거리 물가 관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하반기 바나나·파인애플 등 과일류 28종, 무·배추 등 농산물 4종에 대한 할당관세를 적용해 공급을 늘리고 오렌지·커피농축액 등 19종에도 할당관세를 적용할 방침이다. 

다만 불안정한 환율과 여름철 에너지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전기요금 인상 여부 등이 변수다. 올 들어 국제유가와 환율이 급등하며 올 4월까지 수입물가가 4개월 연속 올랐다. 전기요금도 요금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제유가가 최근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누적된 동결 여파로 3분기 인상 가능성이 점쳐진다. 여기에 이달 말로 예정된 유류세 인하 조치가 연장되지 않을 경우 석유류 가격 상승세도 더 가팔라질 수 있다. 

이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공공요금은 민생과 직결된 만큼 요금 인상을 최대한 자제하고, 불가피한 경우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로 인상폭을 최소화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책무'”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