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70년대 고교생 4명 납북 현장 홍도에 송환기원비 설치

아주경제
|
2024.06.03 오후 06:03
|

통일부, 70년대 고교생 4명 납북 현장 홍도에 송환기원비 설치

통일부는 3일 문승현 차관이 고교생 4명이 납북되었던 전남 신안군 홍도 현장을 방문하여 고교생 납북자 송환기원비를 제막했다고 밝혔다 사진통일부
통일부는 3일 문승현 차관이 고교생 4명이 납북됐던 전남 신안군 홍도 현장을 방문해 고교생 납북자 송환기원비를 제막했다고 밝혔다. [사진=통일부]

1970년대 후반 고교생이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치된 현장인 군산 선유도에 이어 홍도에도 송환기원비가 세워졌다. 홍도는 1977∼1978년에 우리 고교생 이민교·최승민·홍건표·이명우가 북한 공작원에 납치된 곳이다.

통일부는 3일 전남 신안군 홍도에서 송환기원비 제막식을 개최했다고 밝히면서, “대한민국이 결코 납북자들을 잊지 않는다는 의지를 표현하고, 납북자 송환에 국민의 관심을 제고하고자 송환기원비를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제막식에는 문승현 통일부 차관, 최성룡 전후납북자피해가족연합회 이사장, 납북 고교생 최승민·홍건표의 가족 등이 참석했다. 아울러 송환기원비를 디자인한 송시원 금빛제작소 대표, 흑산초등학교 홍도분교장과 학생들도 참석해 송환기원비의 의미를 마음에 새겼다.

가족들은 행사 자리에서 고령인 납북 고교생 어머니들이 조속히 아들의 생사를 확인하고 한 번이라도 아들과 만나기를 원한다고 호소했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문 차관은 제막식 기념사에서 “홍도에서 어린 고교생들이 불법적으로 납치된 것은 절대 잊혀서는 안 될 비극적인 사건으로, 우리 국민이 함께 아픔을 기억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동참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북한 당국은 하루라도 빨리 문제 해결을 위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달 24일 또 다른 고교생 납치 현장인 군산 선유도에 송환기원비를 설치한 바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