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첫 청정수소 발전 입찰시장 열린다…핵심 선정 기준은 ‘청정수소 등급’

전자신문
|
2024.05.24 오후 08:15
|

세계 첫 청정수소 발전 입찰시장 열린다…핵심 선정 기준은 ‘청정수소 등급’

게티이미지

청정수소로 생산한 전기를 구매·공급하는 입찰시장이 세계 최초로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을 세계 최초로 개설한다고 밝혔다.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에는 청정수소 인증기준을 충족한 연료를 사용하는 발전기만 참여 할 수 있다. 올해 입찰물량은 6500GWh, 계약기간은 15년이다. 실제 발전은 사업 준비기간을 거쳐 2028년부터 시작해야 한다.

청정수소발전의 입찰공고 기간은 발전사가 연료도입 계약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해 24주로 정했다. 최종 낙찰자는 입찰제안서 마감 후 발전단가인 가격 지표와 청정수소 활용 등급, 연료 도입의 안정성, 산업·경제기여도 등 비가격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12월경에 선정할 계획이다.

온실가스 배출 수준이 가장 낮은 1등급을 우대하기 위해 청정수소 등급별 배점차이를 크게 둘 예정이다.

산업부는 지난 3월 ‘청정수소 인증제도 운영에 관한 고시’를 통해 청정수소 인증 기준을 ‘1kg의 수소를 생산할 때 온실가스 배출량이 4kgCO2e(이산화탄소 환산 킬로그램)이하’로 정의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다시 △1등급 0~0.1kgCO2e/kgH2 △2등급 0.1~1kgCO2e/kgH2 △3등급 1~2kgCO2e/kgH2 △4등급 2~4kgCO2e/kgH2의 4개 등급으로 구분했다.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전기를 이용해 수전해 방식으로 생산된 ‘그린수소’, 일반 수소지만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를 포집한 ‘블루수소’ 등이 통상 청정수소에 해당한다.

한편, 일반수소발전 입찰시장도 작년에 이어 올해 개설된다. 입찰물량은 1300GWh, 계약기간 20년이다. 실제 발전은 2026년까지 시작해야 한다. 최종 낙찰자는 작년과 유사하게 가격 지표와 전력계통 영향, 산업·경제 기여도 등 비가격 지표를 평가하여 8월경에 선정할 계획이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