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칠레산 탄산리튬 비축분 확대”…2개월 연속 입찰

더구루
|
2024.05.23 오후 02:30
|

“한국, 칠레산 탄산리튬 비축분 확대”…2개월 연속 입찰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이 칠레산 탄산리튬 비축분을 늘리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지정학 긴장감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리튬 공급 부족에 대비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영국 금속 가격 조사기관 패스트마켓(Fastmarkets)은 21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 한국 정부가 한국광해광업공단을 통해 탄산리튬 비축분을 확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패스트마켓은 구체적인 비축분 양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현재로선 칠레산 배터리 등급의 탄산리튬만 비축용으로 가져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한국의 국가 비축용 리튬 입찰은 지난 4월 이뤄졌으며 다음 입찰은 오는 24일로 예정돼 있다고 덧붙였다.

패스트마켓은 한국이 탄산리튬을 비축하는 이유 중 하나로 탄산리튬이 유통기한이 길고 위험물로 간주되는 수산화리튬보다 보관이 쉽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다른 이유로는 한국이 미드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 공급망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지난해 12월 패스트마켓은 한국의 일부 양극재 제조업체들이 전기자동차(EV) 수요 둔화에 따라 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자를 장려하기 위해 하이니켈 NCM 양극재에서 중-저-NCM으로 다시 전환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이니켈 NCM 배터리 음극에는 배터리 등급의 수산화 리튬이 필요하지만, 미드니켈 NCM은 탄산 리튬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한국이 칠레산 탄산리튬 비축분을 늘리는 데에는 지정학 리스크가 요인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대(對)중국 견제가 지속되면서 한국도 배터리 핵심 소재의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는 이미 리튬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2331억원의 자금을 마련해놨다. 올해 리튬 매입을 위한 예산의 규모도 작년 대비 526% 늘어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5일 칠레와 리튬 등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양국은 핵심 광물 전략에 대해 공유하고, 한국의 친환경 리튬 추출 기술을 칠레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광해광업공단은 공급망 확보를 위해 핵심광물 비축기지 조성을 본격화했다. 올해부터 3년 동안 총사업비 2417억원을 투입하며 새만금 국가산단 내 약 18만㎡(약 5만4000평) 부지에 8개 동과 특수창고 4개 등을 구축할 예정이다.

국내산 배터리급 탄산리튬 비축도 확대될 전망이다. 리튬플러스는 지난 2022년 하반기 배터리급 수산화리튬 초도품 생산에 성공했으며, 같은 해 12월 말에는 광해광업공단과 조달청으로부터 탄산리튬을 대여해 이를 원료로 배터리급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생산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