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 vs 변동’ 주담대 금리 ‘선택의 시간’…은행도 ‘딜레마’

데일리안
|
2024.05.22 오후 04:54
|

‘고정 vs 변동’ 주담대 금리 ‘선택의 시간’…은행도 ‘딜레마’

코픽스 5개월 연속 하락세

금리 인하시 변동금리 유리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의 모습. ⓒ연합뉴스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간 격차가 좁아지면서 금융 소비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아직은 변동형 계약의 금리가 고정형을 웃도는 역전 현상이 이어지고 있지만, 서서히 그 차이가 줄며 다시 일반적인 상황으로 돌아갈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이제는 금리가 정점을 찍고 하강 곡선을 그릴 것이란 관측까지 더해지면서 변동금리 주담대를 찾는 고객들이 늘고 있지만, 은행들로서는 고정형 판매를 확대하라는 금융당국의 주문 탓에 딜레마에 빠진 모습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3.80~6.18%로 집계됐다. 올해 초 연 4.51~6.23%와 비교해 상하단 모두 하락했다. 반면 고정금리는 연 3.26~5.60%로 연초 3.27~5.33%에서 상단이 0.27%포인트(p) 뛰었다.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격차는 계속 좁혀지고 있다. 지난달 초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상단은 1.16%p 차이가 있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1% 아래로 줄었다.

변동금리와 고정금리의 격차가 줄어드는 요인은 은행채(AAA·무보증)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상반된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고정금리는 대부분 국내 은행채 금리에 연동되므로, 지표 금리인 은행채 금리가 떨어지면 고정금리형 주담대 금리도 낮아진다. 그러나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은행채(무보증·AAA) 5년물 평균 금리는 4.0%대에 근접하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말 은행채 5년물 금리는 이란-이스라엘 간 긴장이 고조되며 3.95%까지 오른 바 있다.

반면 변동금리의 준거금리가 되는 코픽스는 3.54%로 5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은행이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가 인상 또는 인하에 따라 이를 반영해 오르거나 내린다.

통상 주담대에서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다. 고정금리의 경우 이자 부담이 있어도 금리가 크게 뛸 시 안정적으로 이자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고금리 기조로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를 웃도는 흐름이 이어졌다. 다만 최근 고정과 변동 간 격차가 다시 좁혀지면서 원래대로 고정이 변동보다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담대를 받으려는 금융 소비자들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기준금리 상승기에는 이자 부담을 덜기 위해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는 게 유리하다. 반면 기준금리 하락기에는 변동금리 대출을 택하는 게 낫다.

소비자들은 이자 부담이 적은 고정형 주담대를 선택하려다가도 하반기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변동금리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은행들의 고민도 덩달아 깊어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시중은행에 자체 고정형 주담대 목표 비율을 30%로 설정하는 내용의 행정지도를 실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은행업계는 금리 인하 가능성을 감안하면 적극적으로 고정금리 주담대를 권하기 쉽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변동금리를 찾는 고객도 증가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은행권에서 취급한 주담대 중 변동금리 비중은 42.5%로 전월(34.4%) 대비 8.1%p 증가했다. 2021년 연간 기준 50%를 상회하던 변동금리 취급 비중은 올해 들어 ▲1월 34.1% ▲2월 34.4% ▲3월 42.5% 등으로 오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국 지침대로 고정형 취급 비중을 늘리면 향후 금리인하 시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오히려 커질 수 있다”며 “주담대를 받으려는 소비자들은 금리 인하 시점 등을 잘 살피고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