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큐 서학개미” 순대외금융자산 증가로 전환

아이뉴스24
|
2024.05.22 오후 12:36
|

“땡큐 서학개미” 순대외금융자산 증가로 전환

[아이뉴스24 박은경 기자] 우리나라의 대외 지급 능력을 보여주는 순대외금융자산이 늘었다. 해외 증권투자를 중심으로 대외금융자산이 늘어난 덕분이다.

22일 한국은행의 ‘2024년 1분기 국제투자대조표 시계열 특징’에 따르면 1분기 말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은 8310억달러로 전 분기 말(8103억달러) 대비 207억달러 증가했다. 1분기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자료=한국은행]

순대외금융자산은 국내 거주자의 해외투자(대외금융자산)에서 외국인의 국내 투자(대외금융부채) 잔액을 차감한 수치다. 순대외금융자산이 많을수록 우리나라가 해외에 줘야 할 부채보다 받을 자산이 더 많다는 의미다.

대외금융자산이 대외금융부채보다 큰 폭으로 늘었다. 대외금융자산은 2조3725억달러로 전 분기 말 대비 408억달러 증가했다. 2분기 연속 증가다.

직접투자는 27억달러 줄었다. 그러나 글로벌 주가 상승으로 해외 주식 투자가 늘면서 증권투자가 469억달러 증가한 영향이다.

1분기 대외금융부채는 1조 5415억달러로 전분기 말 대비 201억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가 89억달러 줄고 증권투자는 282억달러 늘었다.

대외채권은 1조521억달러로 전 분기 말 대비 75억달러 증가했다. 단기 대외채권은 정부의 현금 및 예금을 중심으로 36억달러 늘고 장기 대외채권은 정부와 예금취급기관에서 부채성 증권이 늘며 39억달러 증가했다.

대외채무는 6675억달러로 전 분기 말 대비 51억달러 감소했다. 단기외채는 3억달러 증가했지만, 장기외채가 54억달러 감소했다. 대외채권 증가로 순대외채권은 3846억달러로 전 분기 대비 126억달러 증가했다.

대외채권이 늘어난 탓에 대외건전성 지표는 악화했다. 우리나라의 외채 건전성을 보여주는 준비자산(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33.6%로 전 분기 말 대비 0.2%포인트(p) 올랐다.

준비자산이 9억달러 줄었지만, 단기외채가 3억달러 증가한 영향이다. 대외채무 대비 단기외채 비중도 21.1%로 전 분기 대비 0.2%p 상승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