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침체에…주요 건설사 1분기 영업 현금흐름 ‘적자 확대’

아시아투데이
|
2024.05.22 오전 09:57
|

건설경기 침체에…주요 건설사 1분기 영업 현금흐름 ‘적자 확대’

PYH2021060213100001300_P4
한 공사현장의 모습./연합뉴스

공사비 상승에 따른 원가 비용 증가, 경기 침체 장기화로 인한 미분양 발생 등의 이유로 주요 건설사들의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적자 폭이 지난해보다 커졌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공능력 평가 50위 건설사 중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30곳(타 사업 비중이 높은 삼성물산·한화 제외)의 재무제표 분석 결과 이들 기업의 별도 재무제표 기준 영업활동 현금흐름 총액은 2조3169억원 적자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조1817억원)보다 적자 폭이 1조원 넘게 확대된 것이다. 또 이 기업들의 영업활동 현금흐름 감소 폭은 영업이익 축소 규모에 비해 더 큰 규모로 집계됐다. 해당 건설사들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 1조35억원에서 올해 8687억원으로 13.4% 줄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 적자 폭이 훨씬 큰 것이다.

기업의 영업활동으로 발생한 현금의 유입·유출을 나타내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악화는 지출에 비해 수입이 적다는 의미다.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금액보다 현금흐름의 적자 폭이 커지며 기업의 자금 사정도 여의치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업체별로는 △현대건설이 -8747억원 △SK에코플랜트 -4214억원 △포스코이앤씨 -3541억원 △대우건설 -2840억원 △태영건설 -2089억원 △삼성엔지니어링 -1841억원 등 18개사가 현금흐름 적자를 기록했다. 반면 △HDC현대산업개발(1979억원) △DL이앤씨(1264억원) △롯데건설(1167억원) △한신공영(803억원) △계룡건설산업(602억원) 등은 영업활동 현금흐름 흑자를 나타냈다.

현금 흐름 적자는 일시적인 수금 지연 등의 이유로 나타났을 가능성도 있다. 다만 최근 공사 원가 상승 등으로 지출은 늘어났지만, 공사비용 상승분에 대한 발주처와의 협의가 지연되고 있고 분양 물량 감소·미분양 증가 등의 이유로 수익성이 악화된 점이 현금흐름 적자의 이유로 분석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공사 원가가 급격히 상승하며 상승분만큼 현금 유출은 늘어났지만, 분양 규모는 줄고 미분양은 증가했다”며 “이에 작년 동기와 비교해 현금이 들어오는 규모가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