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국내 대학에 공동연구실 설립…脫 희토류 박차

아시아투데이
|
2024.05.21 오전 09:54
|

현대차·기아, 국내 대학에 공동연구실 설립…脫 희토류 박차

(사진1) '현대자동차그룹 자성재료 공동연구실' 현판식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현대자동차그룹 자성재료 공동연구실’ 현판 전달식에서 손현수 현대차·기아 에너지소재연구실장(왼쪽), 이우영 연세대 공동연구실 책임교수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기아가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영구 자석 기술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 주요 대학들과 공동 연구에 착수한다. 전동화 시대의 핵심 원료인 희토류를 대체할 수 있는 자성 재료를 확보하고 자원 수급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현대차·기아는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에 현대자동차그룹 자성재료 공동연구실을 설립했다고 21일 밝혔다.

공동연구실은 전동화 시대의 핵심 원료인 희토류 소재 대체 및 재활용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전동화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기차(EV) 모터의 핵심 부품에 사용되는 네오디뮴 영구자석과 같은 희토류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생산 단계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는 희토류 수출입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자성소재 기술과 사용한 부품을 회수·재활용할 수 있는 재순환 기술 확보가 중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현대차와 기아는 자원 수급 리스크에 대응하고 전기차 소재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연세대·서울대·성균관대·부산대·부경대·충남대·충북대 등 7개 대학과 현대엔지비와 함께 3년간 공동연구실을 운영하고, 연구활동을 지원한다.

앞으로 공동연구실은 비희토류 자성소재 연구·희토류 리사이클 연구·자기특성평가 연구 등 과제를 수행한다. 특히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 연구원들이 각 과제에 참여해 공동연구를 가속화하고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손현수 현대차·기아 에너지소재연구실장은 “현대차·기아가 설립한 공동연구실 가운데 자성재료 분야에서는 처음으로 설립되는 공동연구실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전동화 핵심 부품인 자성재료 기술 내재화를 가속할 수 있도록 이번 프로젝트에 적극 협업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