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기업 88%·日기업 50% ,韓기업 선호…”우선 협력하고 싶다”

서울경제
|
2024.05.20 오후 02:30
|

中기업 88%·日기업 50% ,韓기업 선호…”우선 협력하고 싶다”

中기업 88%·日기업 50% ,韓기업 선호…'우선 협력하고 싶다'
자료:한경협

일본과 중국 대기업의 과반수가 우선 협력 대상국으로 한국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세 국가는 원자력·수소·신재생 등 에너지와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분야에서 협력 강화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경제단체가 세 국가 대기업을 대상으로 경제 현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조만간 개최될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두고 각국의 매출 100대 제조기업(한국 100개·중국 111개·일본 107개)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10점 척도를 기준(점수가 높을수록 상대국 기업과의 협력 의향 높음)으로 중국 기업은 일본 기업(6.5점)보다 한국 기업(7.1점)과의 협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 기업도 중국 기업(4.7점)보다 한국 기업(5.2점)과 협력 의사가 컸다. 한국 기업의 협력 의향은 양국 기업에 대해 비슷한 수준(중국 기업 6.1점·일본 기업 6.3점)으로 나타났다.

기업 수로 환산하면 중국 기업의 88%, 일본 기업의 50%가 한국 기업과의 협력 의사를 밝혔다고 한경협이 전했다. 세 국가 간 관계 개선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한국 75.0%, 일본 46.7%, 중국 45.0% 순으로 필요하다고 답했다. 관계 개선이 필요한 주요 이유로 한국 기업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49.3%)와 ‘공급망 안정'(26.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일본·중국 기업의 경우에는 ‘동북아 안보 및 평화'(일본 40.0%·중국 44.0%)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상대국 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분야와 관련해 한국과 중국 기업은 ‘원자력·수소·신재생에너지’(한국 25.2%·중국 23.9%)를 1순위로 지목했다. 일본 기업은 ‘반도체 및 첨단소재 분야’(25.5%)를 가장 협력이 필요한 분야로 택했다. 현재의 가장 큰 경제 현안으로는 가장 많은 한국과 일본 기업이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에 따른 ‘원자재 가격 불안정'(한국 38.0%·일본 35.0%)이라고 답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