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그팜, ‘KOBA 2024’에서 생성형 인공지능기반 클론보이스 더빙 서비스 소개

테크42
|
2024.05.20 오전 10:43
|

트위그팜, ‘KOBA 2024’에서 생성형 인공지능기반 클론보이스 더빙 서비스 소개

트위그팜은 자사 AI 솔루션 레터웍스에 클론보이스 기반의 더빙 서비스를 출시했다.

트위그팜은 자사 AI 솔루션 레터웍스에 클론보이스 기반의 더빙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오는 21일부터 4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KOBA 2024’에 선보일 예정이다.

트위그팜 측은 “이 혁신적인 서비스는 사용자 자신의 목소리로 영어 더빙을 가능하게 하고, 뛰어난 다국어 자막 품질과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한다”며 레터웍스의 더빙 서비스 특징을 설명했다.

첫 번째, 사용자 목소리로 영어 더빙 가능

레터웍스의 더빙 서비스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복제해 그와 유사한 목소리로 더빙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터웍스에 올려 놓은 콘텐츠에서 목소리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해 하나뿐인 나만의 목소리로 더빙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더욱 개인화된 더빙 콘텐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두 번째, 뛰어난 다국어 자막 품질

레터웍스는 인공지능을 통한 다국어 자막 생성과 전문가를 통한 다국어 자막 생성 과정 모두에서 높은 품질을 자랑한다. 영상 업로드 후 꼼꼼한 한글 자막 제작 과정을 거쳐 보다 정확한 다국어 자막 결과물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현지화 품질 검수자는 에디터에서 용어집 적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용어 적절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레터웍스는 높은 정확도와 자연스러운 다국어 자막 품질을 보장한다.

세 번째, 편리함

레터웍스의 서비스는 다국어 자막과 더빙을 한곳에서 클릭만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해 사용자들이 쉽게 더빙 파일을 생성하고 다른 목소리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목소리 옵션과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켰다.

네 번째,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콘텐츠 데이터 창고 역할 감당

인공지능들을 빠르게 도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콘텐츠가 인공지능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파일단위의 저장을 넘어, 콘텐츠의 화자, 맥락, 분류 등의 값이 함께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레터웍스는 데이터를 분류, 정제, 가공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어, 새로운 인공지능이 출시 되었을 때 빠르게 도입할 수 있다.

한편 레터웍스는 웹소설이 웹툰, 드라마, 영화 등으로 콘텐츠 포맷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대에 맞춰 문화나 언어, 길이의 제약을 반영한 새로운 콘텐츠가 생성되는 서비스도 준비중이다.

백선호 트위그팜 대표는 “레터웍스의 새로운 클론보이스 기반 더빙 서비스를 소개하게 되어 대단히 기쁘다”며 “이번 서비스는 글로벌 콘텐츠 제작과 다국어 자막 과정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