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고려 사리] 일제강점기 유출된 사리… 100년 만에 회암사로 ‘환지본처’

아시아투데이
|
2024.05.19 오후 06:12
|

[돌아온 고려 사리] 일제강점기 유출된 사리… 100년 만에 회암사로 ‘환지본처’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9일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지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서 합장하고 있다. /연합

한국불교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회암사 3여래(가섭불·석가모니·정광불) 2조사(지공선사(?~1363)·나옹선사(1320~1376)) 사리가 약 100년의 여정에 마침표를 찍었다.

일제강점기 유출돼 먼 타국 땅인 미국 보스턴미술관에 있던 이 사리는 19일 원래 자리인 경기 양주시 회암사지로 환지본처(還至本處·본래의 자리로 돌아감)했다. 이 사리는 인도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이 조선시대로 이어지는 법맥(法脈)의 상징이다.

대한불교조계종은 이날 오전 9시 양주 회암사지에서 ‘회암사 사리 이운 문화 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를 봉행했다. 행사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참석해 불자들과 기쁨을 함께 나눴다. 특히 김 여사가 국내에서 대중 앞에 모습을 보인 것은 지난해 12월 2일 조계사에 마련된 자승 전 총무원장 스님의 분향소를 방문한 이후 169일 만이다. 이와 함께 또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 태고종 총무원장 상진스님, 김동연 경기도지사, 주호영 국회 정각회장, 최응천 국가유산청장, 강수현 양주시장 등 4000여 명이 동참했다.

윤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오늘은 우리 불교계의 큰 경사이면서 국민 모두에게 정말 기쁜 날”이라며 “이번에 돌아와 모셔진 사리는 한국 불교의 정통성과 법맥을 상징하는 소중한 국가 유산이지만, 이 귀한 유물을 다시 모셔 오는 길은 길고 힘들었다”며 15년에 걸친 사리 반환 과정을 되짚었다. 그러면서 “국민과 정부가 힘을 합쳐 애쓰고 노력하니 부처님의 가피가 함께해 국민들의 소망을 이루어 냈다”며 “부처님의 가피는 그냥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간절한 기도와 정진이 선행되어야 함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진우스님은 법어를 통해 “불조사리를 오늘 비로소 사부대중과 함께 장엄하고 거룩하게 봉안할 수 있어서 정말 정말 환희롭고 환희롭다”며 “국가가 부흥하고 국민이 평안하며 불교가 중흥되는 역사적인 새 천 년이 시작되는 날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스님은 또한 “영부인께서 사리 이운 봉안에 공덕주가 되셨으니 후속적인 역사(회암사 복원 등)에도 힘을 보태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조계종은 사리가 원래 회암사 지공선사 사리탑에 모셔져 있다가 고려시대 공예품인 ‘금은제 라마탑형 사리구’에 담겨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사리반환에는 김건희 여사의 기여가 컸다. 보스턴미술관은 사리구를 1939년 보스턴의 야마나카상회(Yamanaka and Company)라는 딜러로부터 사들여 보관해 왔다. 국내에서는 2004년 10월 보스턴미술관의 ‘금은제 라마탑형 사리구’ 소장 사실이 확인된 이후 본격적으로 사리 및 사리구에 대한 반환 논의가 시작됐다. 2009년 1월 보스턴미술관과 1차 협상을, 2009년 2월 2차 협상에 이어 2011년 3차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후 2013년 4차 협상에서 최종 결렬된 후 논의가 사실상 중단된 상태였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4월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당시 김건희 여사가 보스턴미술관을 방문해 사리 반환 논의를 재개해 달라고 요청해 10년 만에 반환 논의가 재개됐고 이후 급물살을 탔다.

지난 2월 종단과 국가유산청장(당시 문화재청)의 협상단이 미국을 방문, 보스턴미술관 측과 논의를 진행해 사리를 종단에 기증하고 사리구는 일정 기간 대여하는 내용의 협상을 완료했다. 이에 따라 회암사 사리는 지난달 18일 한국으로 돌아왔다.

이번에 돌아온 사리는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특별 친견실에서 21일부터 3주 동안 공개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