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가상자산 시총 43.6조…반년 만에 53%↑

전자신문
|
2024.05.16 오전 10:21
|

지난해 하반기 가상자산 시총 43.6조…반년 만에 53%↑

지난해 하반기 크립토 스프링 훈풍이 불어옴에 따라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43조6000억원으로 같은 해 상반기보다 5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국내 22개 거래소와 7개 지갑·보관업자를 조사해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평균 거래규모는 3조6000억원으로 상반기(2조9000억원) 대비 24% 늘었다. 원화 예치금은 4조9000억원으로 21% 늘었다.

일평균 거래금액은 원화마켓 거래소의 경우 3조5800억원으로 상반기 대비 24% 증가했으나, 코인마켓 거래소는 41억원으로 44% 감소했다.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출시 소식과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의 수수료 무료 정책 등 호재에 힘입어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거래량 상승세가 이어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해 6월 말 3만477달러에서 12월 말 4만2천265달러로 39% 상승했다.

거래소의 영업이익은 2693억원으로 18% 늘었다. 원화마켓의 영업이익은 2968억원이었고, 코인마켓은 275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신규 상장은 총 159건으로 상반기와 동일했고, 거래중단은 138건으로 20% 증가했다. 전체 가상자산 종목 수는 600종으로 상반기 대비 3.5% 줄었다.

이 중 332종은 국내 거래소 1곳에서만 거래되는 단독상장 가상자산이었다. 단독상장 가상자산의 40%(113종)은 한국인이 발행한 가상자산 또는 국내 사업자에서 80% 이상 거래되는 가상자산을 의미하는 ‘김치코인’이었다.

단독상장 가상자산은 상반기 대비 34종 감소했다. ‘김치코인’은 50종 감소했다.

가상자산 가격 변동성은 61.5%로 상반기(62.4%)와 비슷하게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 외부 이전 금액은 38조1000억원으로 28% 늘었다. 이 중 신고사업자에 이전한 금액(트래블룰 적용)이 10조4000억원으로 상반기 대비 57% 급증했다.

작년 상반기 하락세를 기록했던 거래 이용자는 6.4% 증가해 645만명을 기록했다.

이용자 연령별로는 지난해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30대(29.3%), 40대(28.9%), 20대 이하(18.2%), 50대(17.7%), 60대(5.9%) 순대로 이용자 규모가 컸다.

대다수 이용자(416만명, 65%)는 50만원 미만을 보유했고, 1000만원 이상 자산 보유자 비중은 10%(67만명)로 6월말 대비 2%p 증가했다.

서정화 기자 spurify@etnews.com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