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엘리베이터, UAM 핵심 ‘버티포트’ 개발 속도

이투데이
|
2024.05.15 오후 02:28
|

현대엘리베이터, UAM 핵심 ‘버티포트’ 개발 속도

사진제공=현대엘리베이터현대엘리베이터가 지난해 7월 공개한 ‘H-PORT’ 조감도. 건물 내부에는 도심교통항공(UAM)의 격납 및 충전, 정비가 가능한 시설이 조성될 예정이다.

현대엘리베이터가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한 핵심사업 중 하나인 ‘버티포트(Vertiport)’ 개발을 본격화한다. 버티포트는 UAM의 이착륙장을 말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국토교통부 주관 ‘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 사업’의 ‘이동식 모듈형 버티포트 설계·시공 기술 및 감시시스템 개발 과제’ 수행기관으로 현대엘리베이터 컨소시엄이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현대엘리베이터는 롯데건설,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국립한국교통대, 청주대, 니나노컴퍼니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과제를 수행한다.

현대엘리베이터 컨소시엄은 2024년 4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국비 105억1700만 원을 지원받아 버티포트 개발 과제를 수행한다. 연구과제는 이동식 모듈형 버티포트 인프라 구축과 이착륙 감시시스템 개발 등이다.

현재 개발 중인 버티포트는 기존 공항과 같은 넓은 대지와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고층 건물이 밀집된 도심 환경에서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자사의 핵심기술이자 강점인 수직·수평 이동기술을 접목한 ‘수직 격납형 버티포트’를 제안했다.

앞서 지난해 7월 현대엘리베이터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국토부·사우디아라비아의 신도시 개발사업 ‘네옴 로드쇼’에서 ‘H-포트(H-PORT)’를 공개했다.

H-PORT는 현대엘리베이터만의 독보적 기술인 자동 주차 시스템을 활용한 격납고와 드론의 자동 주차 및 자동 충전, 탑승객의 승하차 등을 통합 관제할 수 있는 건축물이다. UAM 상용화 시 도심 내 공간 제약을 해소해 줄 솔루션으로 꼽힌다.

현대엘리베이터 관계자는 “국책과제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사업단과 긴밀히 협력하고, 산업계·학계·연구기관 각각의 강점을 살려 차원 높은 기술개발을 이뤄낼 것”이라며 “국가 산업의 기술 역량 확보 및 K-UAM 상용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