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남성 육아휴직자 여성 추월…설립 이후 처음

서울경제
|
2024.05.15 오전 10:15
|

코레일, 남성 육아휴직자 여성 추월…설립 이후 처음

코레일, 남성 육아휴직자 여성 추월…설립 이후 처음
서울 시내 한 어린이집에서 어린이가 아빠와 함께 등원하고 있다. 연합뉴

지난해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남성 육아휴직자가 여성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육아휴직 비율이 여성을 추월한 것은 2005년 코레일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339개 공공기관의 남성 육아휴직 비율과 비교하면 코레일의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은 2배 이상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15일 코레일 따르면 지난 한 해 육아휴직을 한 직원 707명 가운데 50.8%(359명)가 남성 직원이었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전체 공공기관의 작년 육아휴직 사용자(2만 4489명) 중 남성의 비율은 23.5%였다.

코레일 남성 육아휴직자는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였다. 2019년 244명(39.5%), 2020년 258명(39.4%), 2021년 237명(38.6%), 2022년 347명(48.1%), 2023년 359명(50.8%)이었다. 5년 새 47%가 증가했다. 코레일은 지난 5년간 총 1445명의 남성 직원이 육아휴직을 사용해 339개 공공기관 중 남성 육아휴직자 수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근속연수가 짧은 저연차 직원들의 육아휴직 비율도 점차 늘었다.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 10명 중 7명가량이 10년 미만의 저연차 직원이었다.10년 미만 근속한 직원이 전체 육아휴직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19년 29.9%(73명), 2020년 34.9%(90명), 2021년 53.6%(127명), 2022년 61.3%(213명), 2023년 68.8%(247명)다. 연령별로 봐도 남성 육아휴직자 가운데 40대의 비율은 2019년 54.9%에서 작년 30.4%로 줄었고, 30대의 비율은 2019년 41.4%에서 작년 66%로 올랐다.

2022년 도입된 ‘3+3 육아휴직제’의 영향이라는게 코레일 설명이다. ‘3+3 육아휴직제’는 생후 12개월 내의 자녀를 돌보기 위해 부모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하면 첫 3개월 간 부모 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월 200만∼300만 원 상한)를 지급하는 제도다. 또 6개월 이상 육아휴직자를 채용 수요에 반영해 결원 인력을 지원하고 있으며, 육아휴직 중인 직원은 휴직자로 구분하지 않고 직급대우 임용이 가능하도록 인사규정 시행세칙 개정을 진행 중으로 일·가정 양립 기업문화를 구축하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