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천안에서 과수화상병 올 첫 발생…위기 단계 ‘주의’로 격상

데일리안
|
2024.05.14 오전 11:15
|

충주・천안에서 과수화상병 올 첫 발생…위기 단계 ‘주의’로 격상

농진청, 긴급 방제·확산 차단 총력 대응

올해 1~4월 평년보다 기온 높고 강우량 많아

“병원균 확산 유리한 환경”

올해 첫 과수화상병이 충주시와 천안시에서 확인됐다. 농촌진흥청은 위기 경보 단계를 관심에 주의로 격상하며 확산 차단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데일리안 배군득 기자 올해 첫 과수화상병이 충주시와 천안시에서 확인됐다. 농촌진흥청은 위기 경보 단계를 관심에 주의로 격상하며 확산 차단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데일리안 배군득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지난 13일 충북 충주 사과 과수원 1곳(0.4ha)과 충남 천안 배 과수원 1곳(0.5ha)에서 올해 첫 과수화상병 발생이 확인됨에 따라 각 도 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 등 관계기관과 농가가 협력해 긴급 방제작업에 나섰다.

과수화상병은 우리나라에서 금지 병해충으로 지정된 세균병이다. 주로 사과, 배 등 장미과 식물에서 발생한다. 감염됐을 경우 잎, 꽃, 가지, 줄기, 과일 등이 마치 불에 탄 것처럼 붉은 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하며 마르는 증상을 보인다.

농진청은 과수화상병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해 13일부터 17일까지 발생지 주변 2km 이내 전 과수원을 대상으로 예방관찰(예찰)을 벌인다. 대상지는 충주시 사과·배 재배면적 1475농가, 967ha(반경 2km 이내 304농가 61.9ha), 천안시 사과·배 재배면적 852농가, 163ha(반경 2km 이내 3농가 0.9ha) 등이다.

현재 과수화상병 발생이 확인된 과수원에는 외부인 출입을 차단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과수화상병 발생원인, 확산 경로, 추후 발생 가능성 등을 파악하는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올해 첫 과수화상병이 발생함에 따라 농진청은 위기 경보 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했다. 이와 함께 대책상황실을 긴급 운영하고 있다. 또 오는 16일 9개 도 농업기술원과 대책 회의를 열고 전국 사과·배 과수원, 수출단지, 묘목장 등을 대상으로 과수화상병 예찰·방제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한편 농진청은 과수화상병 발생 예측 프로그램(K-Maryblyt)을 개발해 실시간으로 예측 정보를 제공 중이다. 세균을 잡아먹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와 미생물제 등 다양한 방제약제를 선발해 현장 적용 시험을 하고 있다.

채의석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장은 “작년부터 올해 4월까지 기상 분석 결과 각별하게 주의를 요하므로 정밀예찰로 신속한 방제를 추진하고 있다”며 “사과·배 재배 농가에서도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과수화상병 의심 증상을 발견하면 즉시 농업기술센터 또는 대표 신고 전화로 연락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