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 미달·서울은 흥행…청약시장 뚜렷한 온도 차

아이뉴스24
|
2024.05.13 오전 10:15
|

지방은 미달·서울은 흥행…청약시장 뚜렷한 온도 차

[아이뉴스24 송대성 기자] 올해 청약에 나선 단지 중 절반 이상이 미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1순위 경쟁률이 급증했지만 지방은 미달 사태가 속출하며 양극화 현상이 뚜렷했다.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내려다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1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올해 청약에 나선 99개 단지 중 1순위 평균 경쟁률이 1대 1에 미치지 못한 단지는 총 52개 단지였다. 이 가운데 69%(36개 단지)가 지방에서 공급됐다. 지역별로는 울산(0.2 대1), 강원(0.2 대1), 대전(0.4 대1), 경남(0.4 대1), 부산(0.8 대1)이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반면 서울 아파트 분양시장은 여전히 청약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았다. 올해 서울에서 청약을 진행한 6개 단지 모두 1순위에서 청약 접수가 마감됐다.

올해 전체 분양단지 기준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은 전국 4.6대 1을 보이며 전년 동기(6.8대 1)보다 낮아졌다. 반면 서울은 올해 124.9대 1로 지난해 같은 기간(45.6대 1)보다 2.7 배가량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올해 3.3㎡당 평균 분양가는 7896만원으로 지난해(3017만원) 대비 2배 이상 뛰었다. 한강뷰 프리미엄으로 3.3㎡ 당 분양가가 1억 원이 넘는 광진구 포제스한강이 평균 분양가를 끌어올렸다. 이밖에도 서초구와 강동구 등 고급 주거지 위주로 분양이 진행되며 전체 분양가가 높아졌다.

서초구 메이플자이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돼 3.3㎡당 6831만 원에 공급됐다. 이에 가격경쟁력까지 높게 평가받으며 성공적으로 청약 접수를 마감했다. 81세대 모집에 3만5000명 이상의 청약수요자가 몰려, 1순위 평균 44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그 외 경희궁유보라(서울 서대문구)가 124대 1, 더샵둔촌포레(서울 강동구)가 93대 1로 그 뒤를 이으며 서울 청약시장 강세를 주도했다.

지방에서도 입지가 좋은 단지는 수요자들이 몰렸다. 전북 전주 서신더샵비발디는 55.5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지방 공급 단지 중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대구 범어 아이파크도 지난달 82세대 모집에 1256명의 수분양자가 몰리며 평균 15.3대 1의 청약경쟁률을 나타냈다.

직방 관계자는 “올해 청약경쟁률 상위 10개 단지 중 7개 단지는 수도권 공급 단지로 수도권 분양 단지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높지만, 수도권·지방 여부가 아닌 향후 차익 실현 가능성 및 입지적 장점이 청약 성적을 가릴 주요한 요소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