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지원 “‘빛과 몸’ 한나, 배우라면 욕심 날 수 밖에 없는 캐릭터” [25th JIFF]

데일리안
|
2024.05.10 오전 09:15
|

차지원 “‘빛과 몸’ 한나, 배우라면 욕심 날 수 밖에 없는 캐릭터” [25th JIFF]

배우 차지원이 연기를 하는 이유는 하나의 작품을 만들어가는 과정과 관객들의 소중한 감상평 때문이다. 주연을 맡은 영화 ‘빛과 몸’이 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코리안 시네마 부문에 초청되면서 다시 한 번 배우로서 즐거움과 선택이 틀리지 않았다는 걸 깨달았다.

ⓒ

지난해 장권호 감독의 ‘똥통’으로 전주국제영화제를 찾았던 차지원은 올해도 장권호 감독과 다시 한 번 호흡을 맞춘 작품으로 2년 연속 레드카펫을 밟게 돼 기쁘다. ‘빛과 몸’은 신병을 앓던 입양아 한나가 정신을 잃은 채 춘천에서 깨어나고 자신과 똑같이 닮은 오래된 실종자 아다다 전단지를 발견, 50년 전 벌어진 사건의 비밀을 쫓기 시작하는 작품이다. 차지원은 극중 한나와 아다다 1인 2역을 맡아 극을 선두에서 이끌어갔다.

“지난해 단편으로 전주국제영화제 찾은 후 10년 만에 와 기뻤는데 올해도 오게 돼 기뻐요. 이번에는 제가 맡은 롤 자체가 크다 보니 무게감이 달라요. GV(관객과의 대화) 하기 전 얼마나 떨었는지 몰라요.”

차지원은 ‘빛과 몸’ GV를 통해 배우로서 살아있음을 느꼈다. 관객들의 감상평과 질문을 들으며 얼마나 집중도 있게 영화를 관람했는지 온전히 느낄 수 있었다. 비로소 영화가 완성된 기분이다.

“질문을 많이 해주신 것 자체가 좋았어요. 집중해 봐주셨고 궁금증이 생겼다는 거니까요. 만드는 사람은 답을 가지고 있지만, 영화의 완전한 결말은 관객들의 몫이라고 생각해요. 그걸 관객들이 질문을 던져주시며 만들어주셨어요.”

지난해 ‘똥통’으로 호흡을 한 차례 맞춘 장권호 감독과의 재회는 신뢰와 익숙함으로 다져진 결과물이다. ‘빛과 몸’으로 하나가 돼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감독과 배우 사이가 돼 14회차 촬영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감독님이 저에게 믿음이 생긴 것 같아요. 감독님이 현장에서 디렉션을 안주는 스타일이에요. 생각은 명확한데 설명은 잘 안 해주셔서 서로 이해를 해야만 잘 넘어갈 수 있거든요. 저도 솔직히 감독님의 스타일이 좋고 편해요.”

ⓒ

그는 ‘빛과 몸’의 시나리오를 읽고 난 후, 잘 표현하고 싶다는 욕심과 자신감이 있었다. 오만함이 아닌, 한나의 정체성과 고민에서 동질감을 느꼈다.

“배우라면 이 역할을 욕심 안 낼 수 없을걸요. 보여줄 수 있는 게 많거든요. 제가 한나 역을 맡고 싶었던 또 다른 이유는 저와 비슷한 모습을 봤기 때문이에요. 저는 어릴 때부터 ‘죽음이란 무엇일까’라는 철학적 고민을 자주 했어요. 그게 제 불면증의 이유기도 했고요. 사춘기와 20대 때 항상 그 의문점을 갖고 있었죠. 엄마가 돌아가시면서 죽음과 가까이서 생각할 시간도 많았어요. 종교도 가져봤고, 전공도 심리학이에요. 대학교 다니면서 샤머니즘에 관심이 있어 논문을 쓴 적도 있었어요. 인간의 심리, 살아가는 태도, 받아들이는 과정 등을 이해하고 싶었던 것 같아요. 영화 속 인물의 고민이나 메시지가 제 인생을 관통하고 있던 주제였기 때문에 한나가 이해가 됐어요. “

한나가 해외 입양아 설정인 것도 자신이 캐나다에 살다 한국에 와서 겪은 ‘이방인의 감정’과 겹쳐 보였다.

“저는 한국 오기 전까지 제가 한국적인 사람인지 알았어요. 한국말을 잘하고 한국 문화에 관심이 많았거든요. 굳이 제가 캐나다에서 왔다는 말을 하지 않으면 다들 내가 한국 사람인지 알아요. 하지만 한국에 오고 3~4년이 지난 후부터 진짜 한국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과 다른 점들을 깨닫기 시작했어요. 그러면서 어딜 가나 이방인 같다는 느낌을 받았고요. 그런 심리도 한나에게 투영이 됐어요.”

‘빛과 몸’에 합류하기로 결정됐을 때 차지원은 차와 시나리오를 가지고 집 뒤의 동산에 오르기 시작했다. 그 곳에서 한나가 자신에게 와주길 바라며 시나리오를 읽고 또 읽었다. 분석의 개념보다 읽다보면 어느 순간 자신에게 와닿는 순간들들 기다렸다. 어느 순간 한나가 이해되기 시작했고, 다음 작업은 연기 주안점에 대한 고민이었다.


“제일 고민한 건 한나와 아다다의 에너지 레벨을 어떻게 차별화 시킬 것인가였어요. 아다다가 신내림을 받기 전에는 운명에 지는 느낌이었어요. 그러나 너무 패배적이거나 힘든 느낌으로 그려내긴 싫었거든요. 한나와 비슷한 결이 될 것 같았어요. 오히려 아다다는 제어할 수 없는 힘으로 모든 걸 받아들일 수 있는 아이죠. 관객들이 봤을 때 두 인물이 같은 에너지 레벨로 가면 늘어질 것 같았고 어떻게 하면 다채롭게 보일 수 있을까 연구했습니다.”

‘빛과 몸’의 마지막 장면은 자신의 전생과 현생의 진실을 알게 된 한나가 다음을 향해가는 얼굴이다. ‘빛과 몸’의 한나는 어떤 삶을 살아가게 될까. 차지원 다운 대답이 돌아왔다.

“GV때도 이 질문을 받았어요. 한나는 한나대로 나아가지 않을까요?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과거로 되돌아갈 수 없잖아요. ‘아 이런 일이 있었지’ 생각만 하고 놓아주고 또 다시 살아가잖아요. 저 역시도 과거로 돌아가고 싶은 생각이 없고요. 어떤 기억이든 그것으로 지금의 내가 있는 있는 것일 테니까요.”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