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시장 선점 위해 부처간 협력”…과기정통부-산업부, 협업포럼 출범

데일리안
|
2024.04.02 오후 05:30
|

“AI 반도체 시장 선점 위해 부처간 협력”…과기정통부-산업부, 협업포럼 출범

생태계 조성위한 동맹 구축

수요연계·인프라·금융·R&D 등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세종청사 전경. ⓒ데일리안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세종청사 전경. ⓒ데일리안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산자원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산업 진흥을 위해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과 강경성 산업부 1차관은 2일 ‘AI 반도체 협력 포럼’ 출범식을 열었다.

이번 포럼은 지난 1월 ‘반도체 분야 민생토론회’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출범식에는 국내 7대 주력 산업 분야 대표 수요기업과 IP기업, 팹리스, 파운드리, 후공정 등 반도체 생산 기업이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수요-공급 산업 협회간 ‘AI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 업무 협약’도 체결했다.

이날 행사에선 ‘글로벌 AI 반도체 동향과 정책제언’ 발표와 ‘수요·공급기업간 협업사례 발표’에 이어 AI 반도체 전체 밸류체인 기업간 정책간담회가 개최됐다.

포럼은 수요·공급기업간 협력 사업을 발굴하는‘수요-제조 분과’와 AI 반도체 생태계 조성을 논의하는 ‘설계-제조 분과’로 운영된다.

정부는 포럼에서 수요-공급기업간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제품개발 매칭 시 수시 선정평가를 통해 개발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시스템반도체 검증지원센터 구축 사업을 통해 올해 하반기부터 AI 반도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시험·검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통한 금융 지원과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및 PIM 인공지능 반도체 사업 등 연구개발(R&D) 지원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나아가 정부는 기업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AI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범부처 전략을 조속히 마련할 예정이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은 “본격적인 AI 일상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선 AI분야 하드웨어 경쟁력을 대표하는 AI반도체와 이에 대응하는 AI·소프트웨어(SW), 클라우드 등이 유기적으로 상호 연계·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형 NPU(신경망처리장치) 고도화와 뉴로모픽, PIM(Processing-In-Memory) 핵심기술 개발 등 저전력 AI반도체 기술 혁신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한편, AI·SW, 클라우드 등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 전반의 기술 생태계 조성과 동반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