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라이벌의식 폭발했다는 한미 남녀, 알고 보니…

맥스EN
|
2024.02.13 오전 11:33
|

최근 라이벌의식 폭발했다는 한미 남녀, 알고 보니…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 ‘패스트 라이브즈’·’가여운 것들’, 3월6일 대격돌

제96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후보에 오른 두 편의 영화가 같은 날 격돌한다.

오는 3월10일 미국 LA 돌비 극장에서 아카데미 시상식이 열리는 가운데, 시상식에 앞서 3월6일 셀린 송 감독의 ‘패스트 라이브즈’와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가여운 것들’이 개봉해 눈길을 사로잡는다. 두 작품 모두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패스트 라이브즈’의 셀린 송 감독은 지난 1월11일 미국감독조합(DGA)이 주는 첫 장편영화 부문 감독상을 받았다. 신인상에 해당하는 부문으로, 한국계 연출자로는 첫 수상이었다. 이에 따라 이미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후보는 물론 앞서 개최된 제81회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5개 부문 후보에 오르며 주목받은 ‘패스트 라이브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패스트 라이브즈’는 서울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첫사랑 나영(그레타 리)과 해성(유태오)이 24년 만에 뉴욕에서 다시 만나 끊어질 듯 이어져온 그들의 인연을 돌아보는 이틀간의 운명적인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지극히 한국적인 ‘인연’이라는 개념을 통해 사랑의 의미를 섬세하게 포착한 ‘패스트 라이브즈’는 24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이어져 온 나영과 해성의 특별한 관계와 함께 서울과 뉴욕을 오가는 아름다운 영상미와 감각적인 연출로 관객들의 몰입을 더할 예정이다.

셀린 송 감독은 ‘넘버3’와 ‘세기말’을 연출한 송능한 감독의 딸로, 열 살이 넘어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패스트 라이브즈’는 자전적 영화로 자연스럽게 한국적 정서를 극 속에 녹여냈지만, 보편적 공감을 통해 전 세계인의 관심을 이끌었다.

셀린 송 감독은 최근 인터뷰에서 “이민자라는 아이덴티티는 이민자만이 아니라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것”이라며 ‘패스트 라이브즈’에 대한 해외 관객의 높은 관심의 이유를 설명했다.

‘패스트 라이브즈’는 이번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과 각본상 후보로 지명됐다. 특히 한국계 또는 한국인 감독의 영화가 아카데미 작품상 최종 후보에 오른 건 2020년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과 2021년 한국계 정이삭 감독의 ‘미나리’ 이후 세 번째다.

‘가여운 것들’도 ‘패스트 라이브즈’와 같은 날 개봉해 경쟁한다.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여덟 번째 장편영화이자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가여운 것들’은 고드윈 벡스터 박사(월렘 대포)로 인해 새로운 삶을 선물받은 벨라 벡스터(엠마 스톤)의 삶을 다룬 영화다.

영화는 19세기 영국 런던을 배경으로 한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벨라가 백스터 박사로 인해 부활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일이 펼쳐진다. ‘더 랍스터'(2015년) ‘더 페이버릿:여왕의 여자'(2019년) 등 섬세한 연출을 자랑하는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가여운 것들’은 지난해 개최된 제80회 베네치아국제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사자상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는 작품상(뮤지컬·코미디)을 받았고, 엠마 스톤은 여우주연상을 품에 안았다. 제29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에서도 엠마 스톤은 여우주연상의 영예를 안았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는 작품상을 비롯해 감독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각색상 등 주요 11개 부문에 노미네이트됐다.

무엇보다 엠마 스톤의 연기에 많은 관심이 쏠린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의 유력한 수상 후보로 점쳐지고 있는 그녀는 벨라라는 지금껏 본 적 없는 새로운 캐릭터를 소화하며 “경이로움 그 자체” 등의 찬사를 얻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