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위 안전 필수품, 카시트 선택 포인트

앙쥬B
|
2023.07.08 오전 11:18
|

도로 위 안전 필수품, 카시트 선택 포인트


자동차 타고 나들이 갈 때 필수로 착용해야 하는 카시트. 아이가 카시트 탑승을 거부한다고 해서

일반 좌석에 앉히거나 차량 안전벨트만 하게 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아이의 안전을 위한

카시트 착용의 중요성과 선택 포인트, 장착법에 대해 알아봤다.

도로 위 안전 필수품, 카시트

전 좌석 안전띠 의무화가 시행되면서 카시트의 중요성도 부각됐다. 카시트는 교통사고 발생 시 아이의 안전을 지켜주는 보호 장치로, <도로교통법> 제50조 제1항에 따르면 만 6세 미만 영유아는 카시트와 같은 유아 보호용 장구를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한다. 위반 시 과태료가 부과되지만 의외로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의 2020년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속도로에서의 카시트 미착용률은 38.55%에 달한다. 이 중 카시트가 있음에도 착용하지 않은 비율은 15.06%다. 도심지 일반도로에서의 착용률은 더욱 낮아 53.1%에 그친다. 잠깐 동네 앞에 간다는 이유로, 아이가 카시트를 거부한다는 이유로 착용을 소홀히 하는 것. 도로 위 사고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한다. 특히 아이들은 어른보다 몸집이 작고 가벼워 교통사고 시 중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이때 카시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유리창에 부딪치거나 창밖으로 튕겨 나갈 수 있다. 차량 안전벨트만 착용하는 것도 위험하다.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카시트 장착 조건에 따른 사고 모의시험을 진행한 결과 성인용 안전띠를 착용한 상태에서 충돌 사고 발생 시 복합 상해 가능성은 49.7%로 정상적으로 카시트를 착용했을 때보다 20.2% 높았으며, 충돌과 함께 안전띠가 목과 마찰을 일으켜 불완전 척수 증후군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시트 안전띠를 잘못 착용한 경우에도 아이가 적절히 고정되지 못해 중상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카시트를 사용하는 것 못지않게 올바른 착용법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카시트 선택 포인트

Point 1 아이 발달에 따른 조절 기능

안전띠가 몸을 제대로 잡아줘야 사고 발생 시 상해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카시트는 아이의 몸무게와 앉은키를 고려해 선택해야 한다. 카시트는 연령별, 몸무게별로 종류가 다양하다. 만 1세 미만 영아(체중 0~13kg)는 바구니 스타일의 캐리어 카시트를, 신생아부터 만 4세까지 유아(2.5~18kg)는 컨버터블 카시트를 사용한다. 유아동용 카시트는 만 1세부터 만 11세까지(9~36kg)로 사용 기간이 길다. 또 주니어 단계부터 쓸 수 있는 아동용 카시트도 있으며, 최근에는 신체 발달에 따라 변형 가능한 올라운드형 제품도 있으므로 아이의 연령과 체격, 사용 기간 등을 고려해 장만한다.

Point 2 아이소픽스(ISO-FIX) 브래킷

아이소픽스는 국제표준 유아용 시트 고정 장치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기준에 따라 카시트와 자동차를 연결하는 부분을 규격화한 것이다. 일반 카시트는 차량 내 안전벨트로 고정하기 때문에 제품마다 설치 방법이 다르고 느슨해지거나 오장착하는 등 여러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이를 줄이고자 도입된 것이 아이소픽스 방식이다. 차량에 직접 고정하기 때문에 흔들림이 적고 오장착률을 줄일 수 있다. 2010년 부터 출시되는 국내 차량에는 이 방식이 기본 사양으로 적용돼 있다.

Point 3 안전성을 높인 5점식 안전벨트

어깨와 허리, 다리를 감싸는 5점식 안전벨트가 장착된 카시트를 사용한다. 3점식 안전벨트는 아이 몸에 맞게 고정하기 어렵고 사고가 나면 목을 감거나 배를 눌러 크게 다칠 수 있다. 따라서 카시트 벨트 체결 부분에 정확히 설치해 사용할 것. 6점식 안전벨트는 다리 사이에서 두 줄로 나뉘기 때문에 몸을 가누기 힘든 생후 6개월 미만의 신생아에게 적합하다.

Point 4 측면 보호장치

차량 사고 시 측면 충돌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동차 측면은 탑승자와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충돌 시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카시트를 선택할 땐, 측면 충돌 테스트 인증 여부를 확인해 아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지 체크한다.

Point 5 안전성을 입증한 인증 마크

국내에서 제조된 카시트는 한국건설생활 환경시험연구원(KCL)을 통해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안전인증은 공장심사와 제품 검사를 실시해 어린이 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제조 설비·자체 검사 설비·기술 능력 및 생산 체계까지 심사해 공산품에 대한 안전성을 증명하는 제도다. 유해물질이 허용치를 넘지 않는지, 부품과 장치 등은 안전한지 등을 검사한다. 실제 자동차 충돌사고 시 충격량을 알기 위해 영유아용 인체모형으로 다양한 안전성 테스트도 진행한다. 심사를 통과한 제품에는 KC 로고와 자율안전확 인신고필증 번호가 부여된다. 수입 제품의 경우 제조 국가의 인증을 받은 제품을 고른다.

Point 6 시트커버 탈착 여부

카시트는 짧게는 1년, 길게는 7년 이상 사용한다. 아이가 땀을 흘리며 잠을 자고, 음료수를 먹다 쏟는 등 지저분해지기 쉬우므로 청결 관리가 필수. 시트커버가 분리되는지 구매 전 확인해보고 주기적으로 세탁한다

2023년 앙쥬 7월호

기획·글 앙쥬 편집부 담당 에디터 류신애·황지선(프리랜서) 내용·사진출처 앙쥬 자료실

#앙쥬

#육아

#육아정보

#육아팁

#육아용품

#육아용품추천

#카시트

#아기카시트

#유아카시트

#카시트고르는법

#카시트싫어하는아이

#카시트추천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