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손자 잃고 나만 살아남아…” 강릉 급발진 사고 할머니의 호소

아시아경제
|
2023.05.24 오후 02:03
|

“사랑하는 손자 잃고 나만 살아남아…” 강릉 급발진 사고 할머니의 호소

지난해 12월 강릉에서 발생한 차량 급발진 의심 사고의 책임 소재를 가리는 민사소송 첫 재판이 열린 가운데, 이 사고로 12살 손자를 잃은 운전자 A씨는 “누가 일부러 사고를 내 손자를 잃겠느냐”며 운전자 과실이 아닌 급발진 사고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춘천지법 강릉지원 민사2부(박재형 부장판사)는 23일 A씨와 그 가족이 제조사를 상대로 낸 약 7억6000만원 규모 손해배상 청구 사건 첫 변론기일을 열었다.

원고 측 변호인은 “이 사건은 급발진의 전형적인 4가지 요소를 지니고 있다”며 ‘웽’하는 굉음과 머플러(소음기)에서 흘러나온 액체, 도로상 타이어 자국, 흰 연기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블랙박스에는 차량 오작동을 나타내는 운전자의 음성이 녹음돼 있다”며 “30초간 지속된 급발진 사고”라고 강조했다. 가속 페달 오조작 가능성에 대해서는 “인체공학적 분석과 경험칙에 반한다”고 일축했다.

피고 측 소송대리인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의 감정 결과를 확인한 뒤 상세히 반박하겠다’고 밝히며 “사건을 맡은 지 얼마 되지 않아 구체적인 서면을 준비 중이며, 최대한 신속히 제출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재판부는 소장을 1월에 접수한 점과 3월에 변론기일을 통지했던 점을 들어 “피고가 신속히 대응하지 않은 측면이 있어 이로 인한 불이익은 감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원고 측은 사고 5초 전 차량의 속도가 110㎞인 상태에서 분당 회전수(RPM)가 5500까지 올랐으나 ‘속도가 거의 증가하지 않은’ 사실과 ‘가속 페달을 밟았다’는 국과수의 사고기록장치(EDR) 검사 결과가 모순되는 점을 통해 EDR의 신뢰성 상실을 증명하고자 EDR 감정을 신청했다.

또 정상적인 급가속 시 엔진 소리와 이번 사고에서의 엔진 소리 간 음향 특성이 다른 점 등을 밝히고자 음향분석 감정도 신청했다. 재판부는 원고 측이 제출한 EDR 감정과 음향분석 감정을 모두 받아들였다.

이날 재판에서는 운전자 A씨와 그의 아들이자 숨진 아동의 아버지가 발언권을 얻어 진실 규명을 호소했다.

A씨는 “사랑하는 손자를 잃고 저만 살아남아서 미안하고 가슴이 미어진다. 누가 일부러 사고를 내 손자를 잃겠느냐”며 “제 과실로 사고를 냈다는 누명을 쓰고는 죄책감에 살아갈 수 없다. 재판장님께서 진실을 밝혀주시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죄인이다. 손자가 살았어야 했는데…”라며 울먹였다.

A씨의 아들은 “‘강한 것이 옳은 것을 이겨온 사회’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자동차 급발진 사고”라며 “급발진 사고 원인을 전적으로 운전자에게 입증하게 하는 자체가 모순된 행위이며 폭력이다. 언제까지 제조사의 이권과 횡포 앞에 국민의 소중한 생명의 가치가 도외시돼야 하느냐”고 물었다.

이어 “대한민국에서 급발진 사고는 가정파괴범이자 연쇄살인범”이라며 “부디 이번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주시고, 대한민국은 ‘옳은 것이 강한 것을 이기는 사회’라는 것을 알려달라”고 호소했다.

또 “급발진 사고 시 승소한 첫 사례가 되어 다시는 제조사가 방관하고 묵과하지 않도록 법 개정이 반드시 이뤄질 수 있도록 국회의원분들께도 간곡히 호소한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12월6일 강릉시 홍제동에서 A씨가 손자를 태우고 운전한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급발진 의심 사고로 손자가 숨지고 A씨도 크게 다쳤다. 이 사고로 A씨는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상 치사 혐의로 입건돼 지난 3월 경찰조사를 받았다.

재판부는 오는 6월27일을 다음 변론기일로 지정하고, 이때 전문 감정인을 선정해 감정에 필요한 부분을 특정하기로 했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Leave a Comment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