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 ISA 보유고객 분석…순매수 1위 삼성전자

신한투자증권은 자사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보유고객의 거래현황 분석 결과를 6일 밝혔다. ISA는 하나의 통장으로 주식, 펀드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운용하고, 절세혜택을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정부가 ISA 비과세 혜택을 확대하는 법 개정을 추진하면서 올해 두 달 만에 가입자 수가 2023년 말 대비 125% 늘었고, 입금잔고 역시 전년 동월 대비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투자증권 빅데이터센터에 따르면 전체 ISA 중 중개형 ISA 가입자는 99.6%, 일임형 0.3%, 신탁형 0.1%로 대부분 중개형

대한전선, 영국서 ‘3800만 달러’ 초고압 전력망 공급… 경쟁력 고공행진

발포어 비티와 영국 북부 지역에 전력망 구축 AI 및 반도체, 신재생 증가 등으로 글로벌 전력망 호황기 도래 대한전선이 유럽, 미주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대한전선은 글로벌 인프라 그룹인 발포어 비티(Balfour Beatty)에 초고압 전력망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전체 금액은 약 3800만 달러 규모다. 해당 프로젝트는 영국 북부 지역에 132kV급 신규 초고압 전력망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노후되어 있는 가공선을 지중선으로 변경해 전력 공급의 안정화와 송전 용량 확대를 도모한다. 대한전선은 지난해 11월에 발포어 비티와 업무 협약(MOU)을 체결하고 상호협력해 왔다. 이번 프로젝트 역시 이 MOU의 일환이다. MOU를 통해 양 사는 2030년까지 영국 내에서 진행되는 2억 2000만 파운드(약 2억 8000만 달러) 이상의 송배전망 프로젝트 입찰에 공동으로 참여하고, 기술 공유 및 제품 개발 등을 협력하기로 했다. 대한전선은 발포어 비티와의 MOU 직후 약 2700억 달러 규모의 400kV급 초고압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를 계약하며 첫 성과를 낸 바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그 이후 두번째 성과로, 양 사는 향후에도 긴밀한 협력 관계를 통해 지속적인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발포어 비티는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인프라 그룹으로, 연 매출이 15조 원에 달하는 대규모 회사다. 대한전선이 400kV급 전력망 일체를 공급하는 LPT2(London Power Tunnels 2) 프로젝트를 포함해, 대규모 전력망 사업의 EPC(설계, 조달, 시공)를 수행하고 있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영국을 포함해 유럽 전역은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전기 사용량 증가 등으로 신규 전력망에 대한 공급 기회가 많은 지역”이라고 설명하며 “유럽 뿐 아니라, 미국, 중동 등 인구 증가 및 AI(인공지능)와 반도체 성장에 따라 신규 전력망이 부족한 국가들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영업력을 강화해 수주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회 출근 전 불륜男과 호텔서…” 증거사진까지 나와 ‘발칵’ “영웅이 또 영웅했네”…임영웅, 누적 기부액 7435만원 작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 30% 늘어…삼성 점유율 45.5% 의료대란, 일개 필부도 말 좀 합시다 ‘설마’했던 의사들…면허정지 절차 밟자 당황 “진짜 할 줄이야”

원·달러 환율 1.2원 오른 1335.7원 출발

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2원 오른 1335.7원으로 출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회 출근 전 불륜男과 호텔서…” 증거사진까지 나와 ‘발칵’ “영웅이 또 영웅했네”…임영웅, 누적 기부액 7435만원 작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 30% 늘어…삼성 점유율 45.5% ‘설마’했던 의사들…면허정지 절차 밟자 당황 “진짜 할 줄이야” ‘입조심 경계령’ 또 내렸다…한동훈 “낮은 자세로, 국민 눈높이 맞는 언행해야”

‘커플팰리스’ 김회문, 이화린에 퇴소까지 고민…“나보다 강남 아파트가 좋다?”

‘커플팰리스’ 김회문이 퇴소를 고민했다. 5일 방송된 Mnet 예능 프로그램 ‘커플팰리스’에서는 ‘팰리스 위크’에 입소한 싱글남녀의 이야기가 그려졌다. 이날 싱글존을 선택한 후 고민하던 이화린은 김다은에게 “약간 잘 모르겠다. 나한테 관심이 있는지”라고 김회문에 대한 속마음을 밝혔다. 앞서 싱글존 선택에 이화린이 미안해하자, 김회문은 웃으며 괜찮다고 위로한 후 “저도 그 생각은 좀 했다. 나는 당장 강남에 가서 살 순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이하린은 “나는 표현력이 큰 사람을 좋아하는데 (김회문이 그렇지 않아서) 잘 모르겠다”고

한은 “소비자물가, 추세적 둔화 흐름 매끄럽지 않을 것”

김웅 한은 부총재보, 6일 ‘물가 상황 점검회의’ 개최 “2월 근원물가 상승률 전월 수준 유지했으나, 농산물 중심으로 물가 상승” 한국은행이 소비자물가의 추세적 둔화 흐름이 매끄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웅 한은 부총재보는 6일 오전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하면서 2월 물가상승률에 대해 “근원물가 상승률이 전월 수준에서 유지됐으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농산물을 중심으로 지난달보다 높아졌는데, 이는 지난 전망 당시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하나證, ‘미국 부동산 투자 세미나’ 개최

롯데월드타워WM센터 주관 이달 8일 오후 6시 하나증권 롯데월드타워WM센터는 오는 3월 8일 금요일 오후 6시부터 롯데월드타워WM센터에서 2024년 미국 부동산 시장을 전망하고 투자솔루션을 제공하는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참석 희망하는 손님은 롯데월드타워WM센터에 문의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롯데월드타워WM센터에서는 국내·미국 부동산 투자부터 종합자산관리 프리미엄 서비스 상담 등도 받을 수 있다. 양경식 하나증권 롯데월드타워WM센터장은 “하나증권 롯데월드타워WM센터는 금융자산관리와 국내외 부동산 관리를 아우르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번 세미나는 손님들이 미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맞춤형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회 출근 전 불륜男과 호텔서…” 증거사진까지 나와 ‘발칵’ “영웅이 또 영웅했네”…임영웅, 누적 기부액 7435만원 작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 30% 늘어…삼성 점유율 45.5% ‘설마’했던 의사들…면허정지 절차 밟자 당황 “진짜 할 줄이야” ‘입조심 경계령’ 또 내렸다…한동훈 “낮은 자세로, 국민 눈높이 맞는 언행해야”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 중 63.8%가 소형…역대 최고

아시아투데이 전원준 기자 = 지난 1월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에서 전용면적 60㎡형 이하 소형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동산 정보 제공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1월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총 8221건이다. 이 중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는 63.8%에 달하는 5241건이다. 이는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 이후 동월 기준 가장 높은 수치다. 아파트 월세 계약에서 소형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1월 55.2%, 2021년 1월 55.4%, 2022년 1월 57.2%, 지난해 1월 61.7% 등 매년 꾸준히 커지고 있다. 전용 60㎡형 초과∼85㎡형 이하 중소형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2188건으로, 전체의 26.6%를 차지했다. 이어 전용 85㎡형 초과∼102㎡형 이하 중형은 170건(2.1%), 전용 102㎡형 초과∼135㎡형 이하 중대형은 458건(..

[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타깃, 호실적에 12%대 상승ㆍ마이크로스트래터지 21%대 급락

타겟, 4분기 매출ㆍEPS 모두 전망치 웃돌아 마이크로스트래터지, 채권 발행 소식에 하락 테슬라ㆍ애플, 중국 판매 부진에 약세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등락이 컸던 종목은 타깃, 마이크로스트래터지, 소파이, 테슬라 등이다. 유통 대기업 타깃은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호실적에 전 거래일 대비 12.10% 폭등한 168.58달러에 마감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타깃은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319억2000만 달러(약 42조6132억 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팩트셋이 집계한 애널리스트 전망치인 3

외인 순매수 3대장 ‘반도체주‧저PBR주‧성장주’ 상승 가능성↑

NH투자증권은 반도체주와 저 주가순자산비율(PBR)주, 성장주는 외국인 선호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6일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초 이후 한국 주식시장의 상승은 외국인 매수에 의존하고 있다”며 “2월 이후 한국 주식시장을 좌우하고 있는 세 가지 분야(반도체‧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관련주‧성장주)는 모두 외국인들이 사고 있는 주식”이라고 했다. 김 연구원은 반도체주에 대해 미국발 인공지능(AI) 투자 확대 지속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했다. 그는 “한국 반도체의 강세는 주로 미국의 AI 투자

[뉴욕금값] 이틀째 사상 최고치…금리인하 베팅↑ㆍ중동 불안 영향

2분기 2300달러 관측도 나와 미국 뉴욕시장에서 금값이 5일(현지시각) 기준금리 인하 베팅이 늘면서 이틀째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CNBC방송에 따르면 이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4월 인도분 금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15.60달러(0.73%) 상승한 온스당 2141.90달러에 마감했다. 금값은 전일 처음으로 2100달러선을 돌파했다. 지난해 12월 27일(온스당 2093.10달러) 이후 2개월여 만에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운 것이다. 이어 이날도 4거래일 연속 오르막길을 걸으며 최고치를 하루 만에 경신했다. TD증권의

현대차證 “오픈엣지 IP, 차세대 반도체 수요 증가 수혜”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차세대 반도체 기반 AI 가속기와 미세공정 수요에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며, 현대차증권은 매수를 권장하고 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최신 메모리 표준을 지원하며, AI 반도체 칩 핵심인 외부 IP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

소비자물가 3% 재진입… 과실 32년 만에 최대폭 상승

소비자물가 상승률 3.1% 지난달 2%대로 내려갔던 소비자물가 지수가 3%대로 다시 반등했다. 떨어질 줄 모르는 과일값이 물가 상승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1%로 집계됐다. 전월 상승률(2.8%)보다 0.3%p 오른 수치다. 지난해 11월 3.3%, 12월 3.2%, 올해 1월 2.8%로 내림세를 보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에 재진입한 모습이다. 국제유가·농축수산물 등 신선식품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탓에 벌어진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0% 뛴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신선과실은 41.2%로 가장 크게 상승했다.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한 수치다. 신선채소와 신선어개는 각각 12.3%, 1.4%씩 올랐다. 석유류 가격은 1년 전보다 1.5% 감소했다. 그러나 하락 폭이 1월(-5.0%)보다 축소하며 전달 대비 물가가 오르는 데 영향을 미쳤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영웅이 또 영웅했네”…임영웅, 누적 기부액 7435만원 “국회 출근 전 불륜男과 호텔서…” 증거사진까지 나와 ‘발칵’ 작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 30% 늘어…삼성 점유율 45.5% ‘설마’했던 의사들…면허정지 절차 밟자 당황 “진짜 할 줄이야” 현대차 美딜러, 아마존서 ‘직접’ 차 판다… 판매 新모델 될까

4.08달러→4.11달러, 韓빅맥지수 亞 여섯번째

[더구루=김형수 기자] 한국 빅맥지수(Big Mac Index)가 아시아에서 여섯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빅맥지수는 글로벌 햄버거 체인 맥도날드가 각국 매장에서 판매하는 빅맥 가격을 미국 달러로 환산한 지수다. 해당 국가의 통화가치, 환율 등을 파악하는 척도로 쓰인다.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Economist)가 지난 1986년부터 발표하고 있다. 6일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한국 빅맥지수는 지난 1월 기준 4.11달러(약 5490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말 기준 빅맥지수 4.08달러(약 5450원)에 비해 0.74% 상승했다. 원화는 달러에 비해 27.8% 저평가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 나라의 빅맥지수가 미국의 빅맥지수에 비해 높으면 해당국 통화가 고평가된 것으로, 낮으면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한다. 미국 빅맥지수는 5.69달러(약 7600원)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 빅맥지수는 아시아 국가 가운데 △스리랑카 5.69달러(약 7600원) △사우디아라비아 5.07달러(약 6770원) △싱가포르 4.96달러(약 6620원) △아랍에미리트(UAE) 4.90달러(약 6540원) △쿠웨이트 4.55달러(약 6070원) 등에 이어 6위에 올랐다. 스위스 빅맥지수는 전세계에서 가장 높았다. 스위스 빅맥지수는 8.17달러(약 1만910원)로, 미국 달러에 비해 43.5% 고평가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노르웨이(7.14달러·약 9530원) 2위 △우루과이(7.04달러·약 9400) 3위 △스웨덴(5.87달러·약 7840원) 4위 △유로 지역(5.87달러) 5위 등 국가의 통화가 미국 달러에 비해 고평가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대만의 빅맥지수는 전세계에서 가장 낮았다. 대만 빅맥지수는 2.39달러(약 3190원)로 미국 보다 58.0% 저평가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인도네시아(2.43달러·약 3240원), 인도(2.59달러·약 3460원), 남아공(2.71달러·약 3620원), 이집트(2.75달러·약 3670원) 등 국가의 통화가 달러에 비해 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소비자물가 3.1%↑…한달만에 다시 3%대

세종//아시아투데이 이지훈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다시 3%대로 올라섰다.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오르고 국제유가 상승세까지 겹친 영향이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 올랐다. 지난해 8∼12월 3%를 웃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2.8%) 2%대로 내려앉았지만,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복귀했다. 농산물 물가가 20.9% 상승하며 전체 물가를 0.80%포인트 끌어올렸다.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 물가 하락 폭도 전월(-5.0%)보다 축소된 1.5%에 그쳤다. 전체 물가 기여도도 1월 -0.21%p에서 -0.06%p로 줄면서 상대적으로 물가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신선과실이 41.2% 오른 영향으로 20.0% 상승했다. 신선과일은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