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하정우X여진구X성동일X채수빈, 실화 바탕 ‘하이재킹’으로 전할 먹먹함

[스포츠W 노이슬 기자] “정치와 이념이 있는 영화가 아니다. 먹먹한 이야기다. 선과 악이 있는 이야기가 아니다.” 22일 오전 11시 서울 CGV용산에서 영화 ‘하이재킹’ 제작보고회가 개최, 감독김성한, 배우 하정우 여진구 성동일 채수빈이 참석, 방송인 박경림이 참석해 이야기를 나눴다. ▲5월 22일 제작보고회 개최한 영화 ‘하이재킹’/연합뉴스 ‘하이재킹’은 1971년 대한민국 상공, 여객기가 공중 납치되면서 벌어지는 극한의 상황을 담은 영화다. 김성한 감독은 “조감독으로 ‘1987’ 영화를 마치고 작가님과 종종 뵀다. 1971년 하이재킹 사건을 들었다. 사건 자체가 너무 영화같은 이야기라서 영화로 만들고 싶다고 말씀을 드렸고, 작가님과 제작자님이 감독을 해봐도 좋겠다 하셔서 운이 좋게 맞게 됐다”고 연출 배경을 전했다. 이어 “근현대사를 고찰하기 보다는 실화 바탕의 이야기를 저도 좋아한다. 제일 중요한 것은 진심과 진정성이라고 생각해서 이 영화를 시작했다. 그런 부분이 잘 전달됐으면 했다”고 말했다. ▲5월 22일 제작보고회 개최한 영화 ‘하이재킹’ 김성한 감독/연합뉴스 시대적 고증은 어떻게 했을까. 감독은 “여객기가 지금 단종되서 해외 박물관에 전시 돼 있다, 김병한 미술 감독님이 고증의 달인이다. 다양한 자료를 수집해서 비행기를 제작해주셨다. 각종 부품은 수입해서 세트를 따로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네 명의 주연 배우들은 ‘하이재킹’의 시나리오의 힘을 강조했다. 먼저 여객기 부기장 태인을 연기한 하정우는 “실화가 주는, 실화 베이스로 영화적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이야기의 힘이 굉장히 컸다. 무엇보다 영화적인 드라마가 제가 이 시나리오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가장 크게 작용했다”고 말했다. 하정우는 ‘더 테러 라이브’, ‘PMC: 더 벙커’에서 한정된 공간에서 고군분투하는 캐릭터를 주로 연기했던 바. 여객기 부기장 태인을 연기한 그는 “제가 한 공간에 갇혀서 고군분투하는 역할을 많이 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난이도 높은 역할”이라고 소개하며 “비행기를 운행하면서 납치범에 대응 해야하고, 승객들의 안전을 위해서 고군분투한다. 기존 작품들보다는 20배 정도는 힘들지 않았나 싶다”고 차이점을 짚었다. ▲5월 22일 제작보고회 개최한 영화 ‘하이재킹’ 하정우/연합뉴스 이어 “한 공간에서 매 회차 60여명의 승객들과 매일 같이 촬영했다. 그러다보니 그분들의 작은 몸짓, 숨소리까지도 한 레임에 담아내야 해서 리딩하는 입장에서는 그런 것들이 어렵기도 했고 감사하기도 했다. 좋은 책임감으로 배우들과 호흡을 맞춘 것 같다”고 덧붙였다.여진구는 메인 빌런 용대를 연기했다. 감독은 여진구의 소년미에 악역을 더해 매력적인 악당을 만들었다고 전했다. 여진구는 “영화 내용이 너무 좋았고, 저한테는 생소한 사건이라서 신선했다. 무엇보다 여객기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정들이 얼키고 설키면서 박진감 넘치는 것이 좋았다. 시나리오의 힘이 느껴졌다”고 시나리오의 매력을 전했다. 필모 최초 악역에 도전한 여진구는 “용대만의 서사가 있지만 너무 미화되거나 정당화 되지 않는 선을 고민했다”며 감정을 표출해내는 것들이, 감정선의 문제가 아니라, 승객분들께 많이 여쭤봤던 것 같다. 6-0명을 압도하거나 섣불리 행동하지 못하게끔 위험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감독님과 많이 상의했지만, 승객분들에게 여쭤보면서 가닥을 잡았다. 많이 인상깊은 현장이었다”고 촬영 소회를 전했다. 성동일은 여객기 기장으로 규식으로 분했다. 성동일은 “비행기 자체가 실제 기종의 중고를 샀다. 거기 6~70명밖에 못 들어간다. 정말 공기도 탁하고 호흡이 중요하다. 조종실은 팔 뻗으면 닿을 정도로 좁았다”며 “안전벨트만 5개더라. 옛날 것이라서 누가 또 채워야 한다. 또 채우기가 귀찮아서 하정우씨랑 계속 앉아있었다. 일어나려면 공간도 좁았다. 둘이 양보를 해야할 정도로 좁았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5월 22일 제작보고회 개최한 영화 ‘하이재킹’ 여진구/연합뉴스 승무원 옥순을 연기한 채수빈은 “어렵기도 했고 재밌기도 했다. 70년대 승무원은 또 다른 지점이 있어서 공부 많이 하고, 항공 학교 가서 수업도 받으면서 준비했다. 당시에 하이재킹이 많이 일어나면서 항공 보안관이 같이 탑승을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성동일은 여진구와 과거 작품에서 부자관계로 호흡했던 바. 하정우와는 ‘국가대표’ 이후 오랜만의 만남이다. 성동일은 “여진구는 깜짝 놀랐다. 아들놈이 이렇게 술을 잘 먹느지 몰랐다. 나이 차도 굉장히 많이 난다. 좁은 공간 안에서 일어나다보니 호흡을 맞추기 위해 식사 자리를 많이 갔다. 촬영이 없는 날에도 함께했다”고 말했고, “‘국가대표’는 한참 전이다. 하정우 배우도 대사 톤이나 눈빛이 농익었다. 완전히 다르다. 촬영하면서 50% 매일 식사 자리에서 작업 이야기를 했다”고 재회 소감을 전했다. 영화는 1971년 대한민국 상공에서 여객기가 납치된 일촉즉발의 상황, 도망칠 수 없는 한정된 공간이 주는 긴장감을 리얼타임으로 전하며 강렬한 영화적 경험을 선사할 얘정이다. 이에 ‘하이재킹’의 제일 큰 관전 포인트는 한정된 여객기라는 공간에서 6~70여명의 배우들이 함께 호흡하는 것이다. ▲5월 22일 제작보고회 개최한 영화 ‘하이재킹’ 성동일 채수빈/연합뉴스 먼저 하정우는 “처음 내부에 들어갔을 때는 정말 신기했다. 그 시대로 돌아간 것 같은 느낌이 신기했지만, 굉장히 작아서 너무 힘들었다”고 말했다. 성동일은 “특히 하정우가 모든 승객 배우들을 항상 스트레스 받을까봐 전체적인 분위기를 띄웠다. 돈 안 받고 하면 이 영화는 못 찍는다. 너무 답답하다. 실제 뜯어지지가 않는다. 그 안에서만 해야하니 답답했다”고 촬영장에 대해 전한 바. 여진구 역시 “어릴 때부터 많은 현장이 있었지만, 매 촬영 3-4번 빼고는 승객, 선배님들과 함께 촬영했다. 60명이 넘는 배우분들과 호흡하는 촬영장이 많이 인상에 남았다. 오히려 승객분들과 함께 할 때 더 몰입이 되서 잊지 못할 현장이었다”고 남다른 소회를 밝혔다 ▲5월 22일 제작보고회 개최한 영화 ‘하이재킹’/연합뉴스 채수빈의 경우, 승무원이기 때문에 테이크가 가장 많았다. 그는 “기내와 조종실을 왔다갔다 계속해야 했다. 쉽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마지막으로 성동일은 “선과 악을 나누는 것이 아니다. 분단 국가의 아픔이 있는 가족영화다. 영화가 끝나고도 진짜 저랬나? 생각이 들기를 바란다. 정치와 이념이 있는 영화가 아니다. 먹먹한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한편 ‘하이재킹’은 6월 21일 개봉한다.

‘비공식작전’ 케미 3박자…액션X코믹 다 잡는다 [종합]

[TV리포트=김연주 기자] 하정우와 주지훈, 그리고 김성훈 감독이 다시 만났다.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CGV 아이파크몰에서 영화 ‘비공식작전’ 제작보고회가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김성훈 감독, 배우 하정우, 주지훈이 참석했다. ‘비공식작전’은 실종된 동료를 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