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KCC와 ‘친환경 페인트’ 개발 나선다

아시아투데이 김유라 기자 = LG화학이 KCC와 손잡고 이산화탄소·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 페인트 개발에 나선다. LG화학은 지난 23일 KCC와 친환경 소재 및 도료 관련 기술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밝혔다. 용인시 KCC 중앙연구소에서 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이종구 LG화학 CTO 부사장과 김상훈 KCC CTO 부사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LG화학은 직접 연구개발한 이산화탄소 전환 또는 미생물 발효 기반의 친환경 페인트 원료를 공급하고, KCC는 이를 이용해 친환경 페인트 제품을 개발한다. LG화학은 친환경 원료에 관해 “업계의 탄소저감 요구와 다양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자동차도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페인트를 친환경 페인트로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종구 부사장은 “화학업계를 리딩하는 두 기업이 만나 친환경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친환경 제품의..

“전설의 재현은 이렇게 해야지!” 르노 5 E-테크 일렉트릭

르노 5 E-테크 일렉트릭 레트로파이브의 대성공 르노 5 E-테크 일렉트릭 출시는 전 세계 자동차 애호가들의 관심을 끌며, 레트로파이브 프로그램에 5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등록하는 등 대성공을 거두었다. 이 차량은 과거의 클래식한 디자인을 현대적인 전기차 기술과 결합해, 시장에서 두드러진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다. 복고풍 디자인의 현대적 재해석 르노 5 E-테크 일렉트릭은 2024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되었으며, 영국과 유럽 […]

LGU+, 유심 플라스틱 줄여…“연간 1톤 낭비 방지”

유심 플레이트 크기 절반으로 줄여 원칩 안내문·배송봉투 친환경 소재로 변경 LG유플러스는 공용 유심 ‘원칩’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을 절반으로 줄이고 안내문과 배송봉투를 친환경 소재로 변경하며 고객과 함께 ESG(환경·사회·지배궂) 경영 실천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유심은 스마트폰에 끼워 쓰는 일종의 IC카드로, 가입자 식별 정보를 탑재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2021년 U+망을 사용하는 40여개 알뜰폰 사업자 요금제는 물론, 공식 온라인몰 ‘유플러스닷컴’의 다이렉트 요금제, 통신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너겟’의 요금제를 개통할 수 있는 공용 유심을 선보였다. 높은 편의성으로 원칩 판매량은 2022년 9만4600여건에서 2023년 28만여건으로 1년 만에 약 3배 증가했다. 원칩의 판매량이 가파르게 증가하자 LG유플러스는 친환경 활동에 동참하기 위해 원칩의 유심 플레이트를 절반으로 줄여 플라스틱 사용량을 낮췄다. 원칩 이용 안내문과 배송 봉투도 친환경 FSC 인증을 받은 소재로 변경했다. FSC 인증은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산림 훼손과 지구 환경 파괴를 막기 위해 국제산림관리협회에서 만든 국제 인증제도다. 보통 유심칩은 파손을 방지하고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신용카드 크기의 플라스틱(유심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판매된다. 이때 실제로 스마트폰에 삽입되는 유심칩은 손톱만한 크기로, 전체 유심 플레이트의 10% 정도다. 나머지 90%는 버려지고 있는데, 장당 약 1g 이상의 플라스틱이 낭비되고 있는 셈이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원칩 판매량이 100만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유심 플레이트의 크기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연간 약 1톤의 플라스틱 낭비를 없앨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친환경 인증 소재를 사용해 연간 약 5톤의 종이 쓰레기를 줄여 나무 약 90그루를 심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유호성 LG유플러스 MVNO사업담당은 “원칩 유심을 사용함으로써 고객 또한 친환경 활동에 동참하는 보람을 느끼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ESG 경영 실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마’했던 의사들…면허정지 절차 밟자 당황 “진짜 할 줄이야” 익혀도 안 죽는다…봄철 ‘이것’ 잘못 먹으면 기억상실 ‘3중 고발’ 당한 이재명…선거전 본격화에 ‘입’이 리스크 임종석의 회군, ‘엄중 낙연’ 닮은 ‘쫄보’ 행보 “국회 출근 전 불륜男과 호텔서…” 증거사진까지 나와 ‘발칵’